10년 전 연봉7천만원 잘나가던 직장 미련없이 박차고 나와<bR>마을숙원사업 대각미역 공동 건조장·작업장 건립 큰 보람<br>해녀 부인과 함께 전원주택서 알콩달콩 행복한 제2의 인생
포항 영암3리 어촌계장 김달암씨 부부의 남다른 고향사랑아담한 항포구를 자랑하는 포항시 남구 장기면 영암3리. 이 마을 어촌계장 김달암(62)씨는 10년전인 지난 2002년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고향인 이곳으로 귀촌했다. 그는 퇴직 당시 울산 현대중공업 공무부장으로 연봉 6~7천만원을 받던 엔지니어 출신. 그가 과감히 사표를 던지고 고향으로 귀어(歸漁)하게 된 사연은 남다르다. 어부였던 아버지의 뜻을 이어받아야 하는 책임감과 고향 앞바다가 너무나 그리워 사표를 던지게 됐다는 것. 그는 요즘 해녀인 동갑내기 부인 최미순씨와 행복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
1년간 배를 탄 것이 귀촌하게 된 동기장기초등학교 6학년 때 어부였던 아버지가 돌아가셨다. 5녀1남의 막내이자 장손이었던 그는 아버지가 하던 정치망어장을 이어받아야 한다는 책임감 때문에 항상 고민스러워 했다. 장기중학교를 졸업하고 포항수고(현 포항해양과학고)에 입학했으나 1년만에 학교를 그만두고 포항 동지상고(현 포항 동지고) 축구선수로 스카웃 돼 1학년에 재입학 했다.
당시 동지상고의 `날쌘돌이`로 포항 축구계에 상당한 이름을 날렸다. 지금도 축구클럽(한국화랑) 실버부에서 한가닥 하는 유명선수다. 축구선수로 졸업하고 군에 입대하기전 1년동안 고향에서 배를 탔던 것이 그가 어부의 길을 택하게 된 배경이 됐다. 지금도 그 때의 추억을 잊지 못한다고 회고했다.
지난 1973년 군대를 제대하자마자 그는 울산 현대중공업 축구선수로 입사했다. 공무과에서 기술을 배우며 회사 축구선수로 활동하던 그가 당시 받은 한달 월급은 13만원. 일반 사원들(6~7만원)보다는 배 가까이 많이 받았다.
□
평생 동반자는 옆동네 동갑내기 해녀현대중공업 입사 5년째인 1978년 현재 부인 최미순(62)씨를 만나 결혼했다.
영암3리 옆 동네 신창리에서 시집 온 최씨는 구룡포 일대에서 알아주는 해녀. 지금도 자맥질을 한다는 최씨는 남편보다 돈을 더 잘 번다. 한달에 2~3번은 물에 들어가며 전복, 성게, 해삼, 미역 등을 따내며 벌어들이는 수입이 연간 3~4천만원선. 남편의 연간 소득 3~4천만원과 비슷하다. 그가 고향으로 귀촌하게된 배경도 해녀인 부인의 역할이 컸다. 부부가 어려운 시절을 살아온 만큼 자식 교육열과 삶에 대한 애착심이 강했다. 슬하의 2남1녀 모두 대학을 보냈고, 2억원을 들여 멋진 전원주택(54평)도 지난 2010년 앞 바다가 훤히 보이는 마을 중앙에 지었다.
□
연봉 7천만원… 사표 내자 주위서 말려입사 31년째인 지난 2002년 월드컵이 열리던 해에 그는 현대중공업을 그만 뒀다. 당시 그의 나이는 54세. 정년을 7~8년 앞두고 돌연 사표를 내자 주위에서조차 한사코 말렸다.
퇴사할 당시 그는 성과급과 보너스를 포함해 6~7천만원을 받던 고액 연봉자였다. 약간의 미련은 남았지만 결코 후회하지 않았다. 그는 회사 다닐 때 틈틈히 모은 돈 3천만원으로 지난 1998년 마을 앞바다 우렁쉥이 양식장을 샀다. 양식장 사업은 동네 어른 2분께 맡기고 주말이면 양식장으로 달려 와 일을 거들었다. 하지만 두 가지 일을 병행하기란 힘들었다. 회사를 그만 둔 이듬해 본격적인 우렁쉥이 양식업에 뛰어 들면서 연간 수입이 1억원을 넘는 고소득자가 됐다.
양식업의 고소득은 오래가지 않았다. 2년 뒤 동해안을 덮친 적조로 양식장의 우렁쉥이가 모두 폐사하면서 양식업에서 손을 뗐다.
□
자율관리업 전국 최우수상 4차례 수상2006년 마을 어촌계장으로 선출된 그는 26.8ha에 달하는 마을공동어장 관리에 주력했다. 마을 주민 60여명이 철마다 전복 치패를 공동어장에 넣고, 따내기를 반복하면서 많은 어획고를 올렸다. 그 결과 2006년 농림수산식품부(당시 장태평 장관)로부터 4년 연속 자율관리업 전국 최우수상을 받았다. 부상으로 받은 정부 지원금 6억6천만원 가운데 2억4천만원을 들여 마을숙원 사업이었던 대각미역 공동건조장을 2009년에 건립했다.
그가 어촌계장이 되면서 약속했던 2개 공약사업 가운데 1개가 미역 공동건조장이었다. 남은 1개는 어촌계 공동작업장 건립. 지난 2011년 시도비 예산 1억6천만원과 마을 자부담 4천만원을 투입해 2억짜리 어촌계 공동작업장을 지었다. 2층 건물인 공동작업장은 1층은 작업장, 2층은 마을회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는 어촌계장 8년을 하면서 처음 약속했던 2개 숙원사업을 임기내에 이행하게 돼 큰 보람을 느낀다고 했다.
□
주말이면 축구장 찾는 노익장 과시축구선수 출신이어서 취미도 오로지 축구 뿐이다. 다른 취미는 없다.
매주 2~3차례 송도동 인조축구장을 찾아 동료들과 축구를 즐긴다. 그래서인지 환갑을 넘긴 나이지만 아직도 50대로 보인다. 포항시축구협회에 실버선수로 등록돼 있으나 축구경기는 50대들과 함께 뛴다. 그는 아직까지 체력에 자신있다고 자랑한다.
동지상고 축구선수시절 워낙 빨라 윙으로 활약한 그는 지금도 드리블 만큼은 젊은이들에 뒤지지 않는다. 체력이 허락할 때까지 축구를 하겠다는 그는 늘 곁에서 뒷바라지 해주는 부인이 고맙다. 앞 바다가 훤히 보이는 전경좋은 집에서 요즘 부인과 알콩달콩 사는 재미에 푹 빠져 있다.
/김명득기자 mdkim@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