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 새해 설계
2013년을 맞은 최영조 경산시장의 감회는 남다르다.
지난해 12월20일 민선 제7대 경산시장으로 취임하며 선거 기간에 약속했던 △ 일자리 1만 개 창출 △ 경제자유구역 중심의 성장 주도사업 클러스터 육성 △ 전통시장 특성화 및 명품화 △ 고령자 일자리 창출 △명문고 육성과 공교육기반 강화 등 5대 공약을 실현할 수 있는 원년을 맞았기 때문이다.
최 시장의 2013년도 화두는 `소통과 화합`이다. 그동안 경산지역은 정치권의 알력으로 민심이 양분되어 서로에게 타격을 주며 지역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2012년을 시련 속에서 희망의 불씨를 당기며 지역의 무한한 잠재력을 확인하고 새로운 발전의 전기를 마련한 소중한 시간이었다고 평가하고 있는 최영조 시장은 오랜 공직생활에서 체득한 `德不孤 必有隣(덕불고 필유린 - 덕은 외롭지 않아 반드시 이웃이 있다)`을 좌우명으로 삼고 있다.
2013년 꼭 이루고 싶은 사업으로 대구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 확정으로 꼽은 새해 시정구상을 정리한다.
남매지공원·삼성현 역사문화공원 준공사업 충실히 마무리새벽인력대기소·일자리센터 등 민간 취업지원서비스 강화
읍면 17개 초·중교 무상급식… 영남대 부속고 설립 첫발도
경산시가 새해 역점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은 전임시장이 펼쳐 놓은 남매지공원 조성, 삼성현역사문화공원 준공 등을 충실히 마무리 하고 대구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 경산4 일반산업단지, 삼성현역사문화공원 문화콘텐츠 구비 등과 함께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등에 행정력을 집중할 예정이다.
2013년 경산시의 예산규모는 지난해보다 3.1% 증가한 5천437억원으로 일반회계 4천750억원, 특별회계 687억원으로 일반회계는 환경복지부문이 1천780억원으로 전체예산의 37.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공공행정분야가 1천078억원(22.7%), 산업분야 636억원(13.4%), 문화분야 263억원(5.5%), 교육분야 84억원(1.8%) 등으로 집행된다.
□ 일자리 창출을 통한 서민 생활 안정
`일자리가 최대의 복지`라는 경산시는 올해 1만 3천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앙정부의 노동·학습 연계형 일자리 창출과 희망 일자리센터, 새벽인력대기소, 여성 새로 일하기 센터 등 민간지원 취업지원서비스를 통해 청년실업 해소, 여성, 소외계층의 지역 맞춤형 일자리 지원사업도 전개한다.
고령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평생학습기반을 구축하고 노인인력운영센터의 설립·운영에도 나선다.
서민 생활 안정을 위해 전통시장 활성화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현대화에 밀려 쇠퇴해 가는 전통시장의 낡은 시설을 리모델링하거나 특성화시켜 쾌적한 쇼핑분위기를 조성해 지역의 애환과 정서가 깃든 장소로 탈바꿈시켜 지역상권 회복의 구심점으로 삼는다.
3월 현대시설로 준공예정인 하양공설시장에는 10억원으로 태양광발전시스템을 설치해 상인들의 주머니 사정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고 경산공설시장 화장실을 리모델링해 시장이용을 편리하게 한다.
□ 산업인프라 확충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경산시 하양읍 대학리와 와촌면 소월리 일원 392만㎡ 규모에 조성중인 경제자유구역 경산지식산업지구는 조성비만 9천626억원이 소요되는 초대형 사업으로 2020년 준공한다.
경산지식산업지구 내 111만㎡에는 차세대 건설기계부품 특화단지가 조성돼 건설기계부품 산업의 기술경쟁력을 높이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원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대학과 관내 대학과 연계한 산학연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에 나서며 부품소재, 섬유기계, 수송설비, 기능성 식품, 한방화장품 등의 국내외기업 유치에 적극 나선다.
또 경북테크노파크 및 지식 기반형 산업지원기관을 경산지식산업지구 내 유치해 성장 주도산업 클러스터 육성에 팔을 걷는다.
진량읍 신제·다문리 일원에 계획 중인 경산4 일반산업단지는 사업시행자를 선정해 오는 2015년 완공을 목표로 하며 섬유, 조립금속, 기계 및 장비 업종을 유치할 계획이다.
적극적인 기업유치로 경산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기로 했다.
□ 都·農의 융합과 행복한 복지
저탄소 녹색도시를 지향하는 경산시는 올해 총사업비 270억원이 투입된 남매공원을 준공할 예정이다.
자연친화 복합문화공간인 남매공원은 산책로와 자전거도로, 세계연꽃식물원, 음악 분수, 수상전시실, 비지터센터, 수변 데크 등 다양한 시설로 남천 자연형하천과 함께 시민의 휴식 공간이 된다.
또 용성면 용산리에 시설 중인 자원회수시설(소각장)은 생활폐기물을 위생적·안정적으로 처리하고 저소득층 주민 국민기초생활보장, 노인복지증진, 다문화가족 및 장애인 복지증진 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이 추진된다.
도농복합도시의 특성을 살릴 농업인 학습단체 육성과 맞춤형 전문교육 등 농업인 역량 강화와 육동권역 마을종합정비사업 등 농촌 정주 여건 개선에 많은 예산이 투자된다.
올해 마무리되는 사월권역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사업비 70억원), 이외에도 자인면 (100억원), 와촌면 (100억원), 남천면(70억원)에도 면 소재지 종합정비사업을 펼쳐 상대적으로 낙후된 농촌마을 기반시설을 확충한다.
도심의 기반구축도 속도를 낸다.
영남대역까지 연결된 대구도시철도 2호선 임당역 주변에 임당환승주차장을 건설해 대중교통의 이용률을 높이고 임당역세권 도시개발사업에도 나선다.
특히 대구 안심에서 경산 하양까지 8.77㎞를 연결하는 대구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사업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투입하고 어린이보호구역 개선, 방범용 CCTV를 확대 설치, 하양 금락 재해위험지구 배수 펌프장설치(150억원), 남산지구 수해상습피해지역 정비(188억원)로 도·농이 함께 성장하는 도시로 개발한다.
□ 지역 혼을 살리며 일등 교육도시로
원효·일연·설총 등 지역 `삼성현`의 정신과 의의를 계승해 지역 혼을 살릴 `삼성현 역사문화공원`에 필요한 문화콘텐츠 구비도 빼놓을 수 없다.
남산면 인흥리 일원 26만㎡ 부지에 455억원을 투자되고 있는 삼성현역사문화공원에는 삼성현문화관, 유물전시관, 국궁장, 공연장 등이 들어설 예정으로 최 시장은 이두문자(吏文字)를 발명한 설총의 메카로 조성할 계획이다.
천연기념물 368호인 경산삽살개를 육종하고 홍보하는 삽살개 테마공원도 와촌면 박사리 일원 10만㎡에 올해 착공한다.
12개 대학이 존재하는 교육도시의 명성을 위해 교육여건 개선도 적극 나선다.
40억2천400만원을 교육경비로 지원하고 15억7천800만원으로 읍면지역 17개 초·중학교에 무상급식을 하며 영남대 부속 고등학교 설립에 첫발을 내디딘다.
경산/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