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새해 첫날 국가 투자 9조원 시대의 희망을 제시했다. 임진년 마지막날 우여곡절 끝에 올해 정부예산안이 국회에서 통과됐다. 경북도는 올해 지역 투자 국비 예산 규모가 역대 최고인 9조393억원이 반영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7조7천434억보다 16.7%가 증가한 규모이다.
광역SOC사업과 미래형첨단과학 산업육성등 다양한 국책사업들 가운데 남북7축 고속도로 예산 1천870억원이 반영된 대목이 눈에 띈다. 국가교통장기계획상의 남북7축에는 울산~포항~영덕~울진~삼척으로 이어지는 동해안 고속도로 건설사업이다. 여기에 `영일만대교`건설 프로젝트가 있어 특히 관심을 모으고 있다.
영일만대교는 포항시 남구 동해면 임곡리에서 북구 여남동까지 길이 9.1㎞의 해상 교량이다. 동해면을 시점으로 4.2㎞는 해저터널로, 나머지 영일만항까지 3.9㎞는 대교로 건설될 계획이다. 터널과 교량 중간에는 인공섬을 조성해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제공한다는 구상으로 사업비 1조2천억원을 투자, 202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포항시는 지난해 1월 영일만대교 건설 계획을 수립했지만 지난해말 한국도로공사는 동해고속도로 기본설계 노선을 확정하면서 영일만대교 구간을 제외하고 장래 추진구간으로 지정했다. 경제성이 없다는 것이 이유였고, 포항시는 민자사업으로 선회했다. 포항시는 영일만대교 민자유치를 위해 현행 국가 재정 지원율을 20%에서 40%로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포항시와 경북도는 재정지원율 40% 상향안을 박근혜 대통령 공약사업에 포함시키고자 노력했으나 대표공약으로 명문화하는데 실패했다. 앞으로 사업 추진에 험난한 여정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동해안은 북한과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톡과 나홋카, 중국의 동북3성, 일본의 니가타를 중심으로 형성된 환동해경제권의 중심이다. 특히 포항시는 환동해경제권의 거점 도시를 준비하고 있다. 낙후된 동해안의 경제를 살리고 동북아경제권시대의 중심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동해안고속도로 건설이 지역의 가장 시급한 과제이다.
현재 동해안고속도로는 지난해 말 한동대앞 나들목과 강구JTC 건설 기본설계가 완료됐고, 올해 반영된 예산으로 이들 구간에 대한 실시설계가 착수될 계획이다. 결국 동해안고속도로는 영일만대교 구간을 제외한 채 사업이 착착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동해안 고속도로를 아무리 빨리 건설해도 영일만대교가 건설되지 않으면 결국 반쪽 도로에 그치게 된다. 동해안을 아우르는 광역단체장과 국회의원 등 정치지도자들과 지역민들이 함께 나서서 새 정부와 국회 등을 상대로 영일만대교의 국가 재정 지원율 인상과 민간 사업자 유치 노력을 기울여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