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인간적이다

김살로메(소설가)
등록일 2012-12-17 00:13 게재일 2012-12-17 23면
스크랩버튼
다산 정약용이 해배되자 본인만큼이나 기뻐했던 이들이 강진의 제자들이었다. 자유의 몸이 된 스승을 축하하는 의미도 있었지만, 중앙 정계에 복귀하는 스승의 덕을 볼 수 있으리라는 현실적인 계산도 있었다. 본가로 올라갈 스승과 강진에 남을 제자들은 영속적인 관계를 도모하기 위해 모임을 만들었다. 이름하여 다신계(茶信契). 모임을 조직한 이유 중에는 다산이 강진 유배 동안 마련한 토지와 그곳에서 나오는 소출을 관리하기 위한 것도 있었다.

원체 다양한 곳이 사람 사는 데인데, 다산을 둘러싼 인적 환경도 다를 바 없었다. 처음에는 제자들도 강진의 다산 토지를 잘 관리해주었다. 하지만 유배에서 풀려났다 뿐, 다산은 노론이 득세하는 중앙 정계에서 든든한 끈이 되어주지는 못했다. 실망한 제자들은 하나둘씩 떠나갔다. 신뢰를 주지 못한 채 인간적인 한계를 보인 다산에게 제자들이 등을 돌린 건 당연한 것인지도 몰랐다. 다신계가 무신계(無信契)가 되는 순간이었다. 특히, 학문적 소양이 뛰어났던 이청(이학래)과의 결별에는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다산의 수많은 저술에 지대한 편집자 역할을 했던 그는 의무만 강요하고 신뢰를 주지 않는 스승을 떠나 추사 김정희의 식객으로 자리바꿈하고 만다.

스승과 제자는 많지만 참된 스승과 제자는 드물다. 스승은 제자를 키우고, 제자는 스승을 세운다. 키우고 세우는 일은 쌍그네를 타는 것과 같다. 스승이 무릎에 힘을 실어 그네를 띄우면 제자는 그 기를 받아 온힘을 모아 그네 키를 높여나간다. 하지만 감당할 수 없는 태풍 앞이라면 그네에서 떨어질 수밖에 없다. 그 태풍이 견딜 만한 것인가 아닌가는 그네를 잇는 동아줄이 안다.

스승으로서 자기 관리에 서툴렀고, 제자를 기르는데 미욱했던 다산을 보면서 슬픔보다는 위안이 되는 건 왜일까. 아마 학문적 깊이나 인품의 넓이에 상관없이 누구나 약점 많은 인간으로 살고 있구나, 하는 생각에 미쳤기 때문이리라.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우리들, 오늘도 곳곳에서 위태로운 그네를 타고 있다.

/김살로메(소설가)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