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클럽에서 하이쿠 모음집을 읽고 토론했다. 일본 문학을 깊이 공부한 이가 없으니 수박 겉핥기이긴 했다. 하이쿠는 총 17글자로 이루어진 5·7·5조의 일본 정형시이다. 지구상의 가장 짧은 시 형식 중의 하나이다. 처음 그것을 접했을 땐 당황스럽기 짝이 없었다. 예를 들면 `해묵은 연못이여 / 개구리 뛰어드는 / 물소리, 첨벙` - 마츠오 바쇼의 이 하이쿠는 최고로 꼽히는데, 이게 왜 좋은 시라는 건지 처음엔 받아들이기 힘들다. 하지만 하이쿠가 지닌 일본 특유의 정서를 살피다 보면 그 의미를 조금은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전통 하이쿠는 크게 세 가지 형식미를 갖는다. 앞서 나온 대로 열일곱 글자 내외의 정형성을 갖는 것이고, 두 번째로는 계어(季語기고)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개구리, 장마, 기러기, 첫눈 등 누가 봐도 계절을 연상할 수 있는 낱말들이 하이쿠에 자주 쓰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세 번째는 절자(切子기레지)를 갖추어야 한다. 세 구 중 어느 한 곳에 여운이나 감탄을 나타내는 어미를 써서 시적 흐름을 끊어 주는 것을 말한다. 위의 바쇼 시에서 `해묵은 연못에` 하지 않고, `해묵은 연못이여`하고 한 호흡을 쉬어갈 때 훨씬 시적 긴장을 유발한다.
짧은 시가 주는 긴 여운이 신기해 우리식으로 17자 시 짓기 놀이를 해본다. 격조 높아 부담스러운 시조에 비해 접근하기가 쉬워서 그런지 하이쿠 짓기 반응이 나쁘지 않다. 하이쿠의 묘미인 촌철살인엔 미치지 못해도 저마다 숨겨뒀던 발설욕구는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겠다. 시가 뭐 별건가. 제 안에 고였던 말들의 두레박을 짧은 호흡으로 건져 올리는 것, 그것만으로도 시가 되는 게 아니던가. 단순하고 절제된 언어의 치유 놀이에 시간 가는 줄 모르겠다.
/김살로메(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