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늘 TV 토론은 정책 대결의 장 되어야

등록일 2012-12-10 21:39 게재일 2012-12-10 22면
스크랩버튼
▲ 배한동 경북대 명예교수·정치학

이제 선거가 9일 앞으로 다가 왔다. 야권 단일화 과정의 지연으로 박-문 양 강 구도로 재편된 선거전은 한치 앞을 예측할 수 없다. 박빙의 선거전이전이라고 하지만 12월19일 자정 전까지는 18대 대통령의 당선을 보게 될 것이다. 이번 대선이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과정을 거쳐 보수와 진보라는 진영논리로 이루어지지만 이 나라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대통령이 탄생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이번 대선 역시 선거일이 가까워 올수록 흑색선전과 인신공격이 판을 치고 있다. 네거티브 선거는 후보의 정책과 인물 검증을 가로 막는 요인이 된다. 안타까운 일이다. 동북아의 질서 재편과 경제적 위기 시대를 현명하게 헤쳐 갈 정책적 비전이 어느 때 보다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후보 상호간의 비방과 인신공격으로 치닫고 있는 선거는 나라의 장래를 위해 불행한 일이다. 급박하게 변하는 내외의 상황은 우리들에게 새로운 대통령의 리더십을 요구하고 있기에 더욱 그러하다.

지난번 정치 쇄신 방안이나 남북관계 등에 관한 1차 TV 토론에 관한 평가는 지지 후보에 따라 상반되고 있다. 중요한 정책적 이슈와 대안은 사라지고, 상대후보에 대한 공격과 비난만 기억되는 토론이 있는가 하면 상대에 관한 공격이 후련하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이정희 후보의 돌출적인 발언과 박근혜 후보의 방어 논리만 기억되는 토론이었음은 분명하다. 결국 1% 이하의 지지를 받는 이정희 후보의 독특한 캐릭터만 기억에 남는 이상한 토론이 돼 버린 셈이다. 또한 사회자의 공통질문에 대한 틀에 박힌 후보들의 준비된 답변, 후보 상호간의 재반론이 없는 토론 방식은 토론의 기능을 살릴 수 없다는 지적이 많다. 그러나 토론 전에 여야 합의에 의해 이것 하나 고칠 수 없는 것이 한국의 정치 현실이다.

이제 남은 12월10일과 16일의 두 번의 TV 토론은 후보의 정책을 실질적으로 검증하는 기회가 돼야 한다. 이 토론을 통해 시청자들은 정책에 대한 실천 방법과 의지, 그 리더십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토론에 참여하는 후보들의 토론의 기본자세와 태도부터 바꿔야 할 것이다.

상대에 대한 근거 없는 비난과 상대방의 정책에 관한 냉정한 비판은 엄격히 구분돼야 한다. `아니면 그만`이라는 식의 책임성 없는 폭로성, 선동성 발언은 유권자의 흥미를 유발하지만 표와는 관계없고, 정치쇄신에는 분명히 역행한다. 상대방에 대한 존중은 대선 후보가 아닌 보통 시민들의 기본 예의인데도 그것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어 양식 있는 유권자들을 실망시키고 있다. 그것이 결국 정치적 무관심과 정치적 불신이라는 냉소주의를 양산할 뿐이다.

이에 더하여 정치 평론가들의 TV 토론후의 평론 자세와 태도도 바꿔야 한다. 특정 후보의 지지 성향과 편향적인 해설은 정책선거에 역행하고 선거판을 부정적으로 활성화시킨다. 특정 후보의 지지성향을 노골적으로 밝히는 평론가는 시청자들을 위해서라도 자신이 지지하는 선거 캠프에 합류하는 쪽이 낫겠다. 언론 매체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서라도 정치 평론가의 활동을 재평가하는 평론장도 마련돼야 할 시점이다.

이번 10일의 TV 토론은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대책, 경제민주화 실현 방안, 일자리 창출과 고용안정 방안 등 중요한 민생 현안이 다뤄진다. 박 후보는 `준비 된 여성 대통령`의 준비된 정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문 후보는 `사람이 먼저인 정치`에 대한 분명한 대안을 제시하길 기대한다.

그것이 정책과 공약에 대한 국민적인 담보이며, 한국 정치를 한 발짝 나아가게 하는 길이다.

시론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