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영·호남에 상생·협력의 바람이 분다

등록일 2012-11-26 21:45 게재일 2012-11-26 22면
스크랩버튼
▲ 이재술대구시의회 의장
지방자치단체들이 변하고 있다. 국책사업유치 등 경쟁자 입장에서 벗어나 다른 지방자치단체들과 손을 잡고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며, 새로운 지역상생모델을 만들어 가고 있다.

지역간의 소모적인 경쟁보다는 협력으로 지방의 목소리를 키우고, 자치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상호 윈-윈(win-win)하는 것이며, 지방자치제가 뿌리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절실히 느끼고 있는 것이다.

지방분권 운동이 본격화된 지 10여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권력은 중앙에 집중돼 있고,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격차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게다가 수도권이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을 기점으로 충청권까지 확대되고, 최근에는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로 인해 강원도까지 확장되면서 수도권의 영역은 충청, 강원 영서 지방까지 확장되고 있지만 그 외의 지역은 날로 초라해지고 있다. 이처럼 거대한 수도권 1극(極)에 맞서기 위해서는 영호남이 협력하고, 공조하는 길만이 지방이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이며, 거대 수도권에 대응할 수 있는 유일한 전략이다.

영·호남이 협력하자는 변화에 대구시의회와 호남의회도 그 뜻을 같이하고, 지역간 협력과 상생의 물꼬를 트기 위해 적극적인 행보를 하고 있다.

지난 11월 15·16일 양일간 대구-광주 공동아젠다 추진을 위해 호남지역 지방의회(광주시의회, 전남도의회, 목포시의회)를 방문했다. 호남지역 의회를 방문해 본 결과, 영호남이 처한 동반위기상황에 양 의회가 절실히 공감하는 사항도 많았을 뿐만 아니라 영호남 대표로시로서의 역할과 지방생존을 위해 영호남이 함께 뭉쳐야 한다는데 한치의 의견 차이도 없었다.

영·호남의회는 점차 거대화되어가는 수도권 체제에서 지방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는데 적극적인 공감을 하고, 영·호남 의회가 주축이 되어 전국차원의 대정부 공조체계를 구축하고, 지방분권과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공동아젠다 선정 뿐만 아니라 이를 이번 대통령 선거 공약에 반드시 반영하기로 했다.

지방이 살기위해서는 영남과 호남이 더 이상 정치적·경제적으로 분리돼서는 안된다. 따라서 대선이 끝난 후에라도 수도권 경제로의 쏠림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 수도권 1극에 맞선 거대한 새 경제축을 만들어야 하며, 이를 위해 대구경북권 뿐만 아니라 동남권, 호남권이 모두 합치는 남부권 대 경제공동체를 건설하는 데 그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남부 3개 광역경제권이 특화·협력·통합을 통해 남부경제공동체를 강력하게 구축함으로써 수도권에 적극 대응하고, 중앙이 괄세하지 못할 강력한 힘과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영호남은 과거에서 벗어나 새로운 협력모델을 만들고, 적극 실현해야 할 때가 왔다. 영호남의 상생의 바람, 협력의 바람이 지방자치단체간에 전해져 지역간의 경계를 허물면서 상호 굳건한 협력체제를 만들어야 한다.

수도권 1극 체제에 대한 적극적 대응에, 수도권 규제완화에 대한 적극적인 반대에, 그리고 전국의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최고 선두에 영남과 호남이 함께 손잡고 앞장서 나가고, 영·호남의 공동발전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특별기고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