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키치

김살로메(소설가)
등록일 2012-10-19 22:25 게재일 2012-10-19 23면
스크랩버튼
벽화 마을이 늘어나고 있다. 어떤 도시를 여행하더라도 그런 마을 하나쯤은 쉽게 만난다. 지저분했던 도시 뒷골목은 깨끗이 붓질된 채 벽화마을이란 테마 관광지로 거듭난다. 명화가 모사되거나 풍속화가 재현되거나 과장된 풀꽃이 내려앉은 긴 담벼락. 햇발 내리쬔 담벼락이 다사로울수록 예견된 담장 안 진실이 궁금해진다. 남들 다 아름답고 정돈되었다고 칭송하는 그 풍광이 내게는 키치(kitsch)스러움의 한 예로 떠오른다. 담박하지 못하고 삐딱한 시선이 송곳날이 되어 벽화를 찌른다.

밀란 쿤데라의 소설을 이야기하는 도중 누군가 물었다. `키치`가 뭐예요? 말하자면 벽화마을에 그려진 화사한 그림이나 SNS를 장식하는 음식점 순례 사진 같은 것 아닐까요. 한마디로 보이거나 보이기 위한 것이지요. 이상하리만치 즉각적인 대답이 내 입에서 나온다.

언제 재개발될지 모르는 뒷골목 담장에 감쪽같이 고흐의 해바라기가 모사되어 있다. 그 옆으론 실제보다 더 선명한 장미넝쿨과 금세 마을을 버리고 날아갈 듯한 천사의 날개까지 걸려있다. 하지만 골목의 실체는 벽화가 보여주는 과장된 낭만을 담보하지 못한다.

저 먼 골목 끝, 한쪽다리 절단된 중년 아줌마의 목발 짚은 뒷모습과 입구 가까운 첫 집, 빼꼼 열린 녹슨 대문 사이로 폐지더미를 묶는 할머니의 손등이 이 마을 벽화의 진실이라고 말해준다. 밀란 쿤데라 식이라면 `앞은 파악할 수 있는 거짓이고, 뒤는 이해할 수 없는 진실`이다. 보이는 벽화야말로 거짓 즉 키치이고, 뒤에 숨은 목발 짚은 뒷모습과 폐지더미 위 손등이야말로 실체 즉 진실이다.

그림 뒤에 숨은 진실이 어둡거나 감추고 싶을수록 그 벽화는 총천연색을 자랑한다. 레스토랑 화려한 음식이 소셜네트워크 사진 속에서 빛난다는 건 우리들 마음이 공허하다는 증거이다. 저속하고 가짜인 키치가 아프고 공허한 실체를 위무하는 아이러니!

/김살로메(소설가)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