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구미 가스누출사고 안전관리 재점검해야

등록일 2012-10-05 21:04 게재일 2012-10-05 23면
스크랩버튼
경북 구미 국가산업단지에서 발생한 가스누출사고로 우리 사회가 안전사고에 대해 얼마나 취약한 지 여실히 드러났다.

지난달 27일 구미 국가산단의 불산 가스누출 사고 발생 이후 지금까지 주민과 소방관, 경찰관, 시 공무원 등 400여명이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특히 사고 당일 현장에 출동한 소방관 중 상당수가 온몸에 발진이 일어나고, 호흡 곤란 증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일까지 구미시에 접수된 피해상황을 보면 농작물 피해면적이 90㏊를 넘고, 소 1천300마리가 기침, 콧물 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사고를 돌아보면 가스누출부터 현장 대처, 사고후 수습에 이르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안이함과 무감각이 연속적으로 작용해 피해규모를 키운 것으로 보인다. 우선 사고가 발생한 4단지의 화공업체 휴브글로벌의 작업현장에서는 직원들이 독극물인 불산을 만지면서도 어느 누구도 보호장구를 착용한 적이 없었고, 평소에도 가스가 수시로 새나오는 위험한 상황인데도 관리·감독자 조차 없었다. 이때문에 가스누출 현장에서만 4명이 숨지고 말았다. 사고 발생직후 소방·행정당국이 피해를 막기위해 고군분투했지만 불산 중화제인 소석회를 확보하지 못해 물로 가스를 희석하는 임시방편에 의지해야 했다. 국가산업단지내에 이런 정도의 대비도 돼있지 않다는 사실이 놀라울 지경이다. 사고 발생이후 공장 근로자와 주민 대피 조치도 제때 이뤄지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구미시는 사고발생후 몇시간 뒤에 4단지 입주업체에 전원 대피령을 내렸고, 주민들에게는 그보다 늦은 시각에야 대피 조치를 취했다고 한다. 대구환경운동연합은 “사고직후 봉산리 마을 이장의 긴급대피령이 없었다면 자칫 대형인명사고가 날 수 있는 아찔한 상황”이었다고 전하고 있다.

대구환경청은 지난 1일 구미 한천과 낙동강 등 5곳의 수질을 측정한 결과 불산 누출사고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다행스런 일이지만 섣불리 경계를 늦춰서는 안된다. 불산은 맹독성으로 기체상태에서 흡수될 경우 호흡기 점막을 해치고, 뼈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신경계를 교란하는 물질이다. 또 공기보다 가벼워 확산속도가 매우 빠르다. 그만큼 2차 피해를 예측하기 어렵고, 피해 범위도 예상을 벗어날 우려가 크다. 지자체가 감당할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는 판단이 들면 중앙정부의 지원도 망설이지 말아야 한다. 피해지역이 주민들의 지속가능한 생활터전으로 부적합하다는 판정이 나올 경우 특별재난 지역으로 지정하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 무엇보다 정부는 전국에 산재한 유독물질 취급업소의 안전관리 실태를 전면 재점검하고, 사고재발 방지대책을 세워야한다.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