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간을 넘어 잠시 아련한 기억의 창가로 떠나게 하는 건 순전히`히다리 포목점`때문이다. 히다리 포목점은 엄마의 재봉틀을 떠올리게 하는 소설이다. 다다다다, 소리를 내는 재봉틀 발판 곁을 주인공 마리오는 안식처로 생각했다. 그 위에 쪼그리고 앉아 배를 타는 느낌으로 혼자만의 황홀한 시간 여행을 한다. 순한 모리오와는 달리 그 시절 나는 격자무늬 엄마의 재봉틀 페달이 창살 같다고 생각했다. 숭고한 노동의 다른 이름인 쉼 없이 돌아가는 그 소리에 동조 없는 연민으로 일관했다. 엄마의 삶이, 한 가계의 일상이 좀 더 환한 꽃무늬로 피어나기를 바랐다.
상처 많은 청년 모리오는 엄마가 죽은 뒤 가보 같은 재봉틀을 자신의 아파트로 옮겨온다. 그리곤 엄마처럼 바느질을 한다. 스커트 만들 꽃무늬 천을 찾아 몇 시간이나 헤맨 끝에 검은고양이 `사부로`씨의 안내로 히다리 포목점에 이른다. 모리오가 아닌 나는 그런 시간이 오면 엄마의 재봉틀을 소중히 간직하게 될까? 재봉틀의 기본조차 모르는 나는 바느질은커녕 모리오처럼 꽃무늬 천을 찾아 오래된 섬유 거리를 헤매지도 않을 것이다.
다만 꽃무늬 천으로 만든 엄마의 다양한 베갯잇을 보면서 재봉틀 페달을 돌리던 엄마 발을 오래도록 기억할 것이다. 모리오가 제 엄마의 꽃무니 스커트를 재현할 때, 나는 가만 엄마의 베갯잇에 얼굴을 묻고 히다리 포목점 그 치유의 골목을 꿈속에서나 기웃거려 보는 것이다.
/김살로메(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