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저녁 서울 여의도 한 복판에서 김모(30)씨가 무차별 칼부림으로 전 직장동료와 행인들에게 중상을 입혔다. 전날에는 수원에서 전과자 강모(39)씨가 술집 여주인을 성폭행하려다 실패하자 마구잡이로 흉기를 휘둘러 1명이 숨지고, 4명이 다쳤다. 이에 앞서 18일엔 지하철 의정부역에서 유모(39)씨가 커터 칼을 휘둘러 8명에게 중경상을 입히는 사건도 있었다. 울산과 인천에서도 `묻지마 범죄`가 잇따랐다. 퇴근길 시민과 전철역 행인들이, 자녀를 유치원에 보내고 돌아온 주부가 마른 하늘에 날벼락 을 맞았다.
`묻지마 범죄`의 장본인들은 예외없이 사회적 외톨이인 것으로 밝혀졌다. 의정부역 흉기난동의 범인 유씨는 친구도 일정한 주거지도, 휴대전화나 신용카드도 없이 고립된 삶을 살아왔다. 전자발찌를 찬 채 주부를 성폭행하려다 살해한 서모(42)씨는 26년전부터 가족과 연락을 끊고 교도소를 드나들며 떠돌이 생활을 해왔다고 한다. 여의도 칼부림 사건을 일으킨 김씨 역시 직장을 잃은뒤 고시원에서 외롭게 살아오다 범행을 저질렀다.
전문가들은 경쟁주의적 사회에서 낙오한 은둔형 외톨이들이 `될대로 되라`는 자포자기적인 심정에서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런 사회적 외톨이가 한 둘이 아니다. 공식 조사는 없지만, 한국 사회의 외톨이는 최소 20만명을 넘을거라는 게 전문가들의 추정이다.
`묻지마 범죄`를 막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관리와 대응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우리 사회에 은둔형 외톨이가 몇 명이나 되는지 조사하고, 그들이 심리테스트나 정신과 검진을 받도록 하는 것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 문제가 드러날 경우 상담이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도 마련해야 한다. 언제 어디서 범죄가 일어나더라도 신속히 출동해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범행을 즉각 제압할 수 있도록 경찰과 응급 의료체계를 보완하는 일도 시급하다. 근본적인 대책으로는 은둔형 외톨이들을 포용할 수 있는 사회정책이 절실하다. 당국은 낙오자들을 배려하고 그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새로운 정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시민, 종교단체들도 이런 노력에 적극 동참해 소외된 자들에게 관심과 사랑을 보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