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낙동강사업 후속 관리 `구멍`

남보수기자
등록일 2012-08-20 21:00 게재일 2012-08-20 8면
스크랩버튼
가로수·시설물 등 관리 지자체에 일임    <bR>국비 지원 수십억 모자라 골머리 앓아
▲ 300만평의 광활한 낙동간 둔치에 조성된 시설물관리를 맡은 구미시가 국비 부족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구미】 낙동강 살리기 사업으로 조성된 광활한 둔치 내 수목과 각종시설물 관리에 국비지원이 너무 적어 일선 지자체들이 골치를 앓고 있다.

정부의 낙동강사업 살리기 조성공사는 지난해 말 준공 후 대부분 해당 자치단체들이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낙동강사업 후 관리는 제방 자전거도로 및 가로수 등은 부산국토관리청, 물막이 보와 보에 달린 부속건물과 수면관리는 한국수자원공사, 둔치내 교량 및 자전거도로 등 각종 시설물 등은 해당지자체가 맡아하는 등 3원화돼 있다.

이러한 관리체제로 인해 구미시를 비롯한 경북도내 낙동강유역 해당 지자체들은 둔치에 심어진 각종수목과 시설물 등 관리에 많은 인력과 장비를 동원해야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이들 시설에 대한 국비지원은 구미시 연간 14억원이고 칠곡군은 이보다 훨씬 적은 4억원에 불과한 실정이다.

구미 낙동강사업 시행으로 조성된 둔치는 1천254㎡(380만평)의 광활한 부지에 수만 그루 나무가 심어진 상태로, 가뭄대비 살수차 동원과 나무생육에 지장을 주는 각종 해충방제제 살포 등의 관리비용 부담이 크게 늘어났다.

특히, 하루 1대 임대료만 30만원에 달하는 가뭄대비 살수차를 동원해야하고 각종수목의 병충해 방제 등 잔디보호에도 많은 장비와 인력이 필요해 관리비용이 많이 들어가 어려운 시 재정의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낙동강변 4.2㎞에 개설될 각종 제방 신규도로개설과 성수천 자전거도로 연결 등에 46억원의 막대한 예산이 필요해 정부가 지원하는 현재 국비지원금으론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구미시는 효율적인 둔치관리로 5단계 관리체계를 마련해 본격적인 관리에 들어갔지만 14억원의 국비로는 어림없어 하반기 4억원(예비비의 30%)을 부산국토관리청에 추가 요청해 놓은 상태다.

부산국토관리청은 이런 해당지자체의 시설관리 어려움도 아랑곳없이 추가지원금에 난색을 표명해 결국 관리주체인 해당 지자체만 각종시설물 관리에 골병이 들고 있다.

구미시 관계자는 “낙동강사업완료 후 모든 관리를 지자체에 일임하고 있지만, 현재 지원되는 국비지원관리비는 대부분 지자체들에게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라며 “정부의 관리비 지원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남보수기자 nbs@kbmaeil.com

중서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