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기 전망이 지난해보다 다소 떨어질 것이라는 증시전망과 함께 경제 전문가들도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청송군을 비롯한 농촌지역 경기회복의 중추적인 역할은 공직자들의 주거지 이탈 방지에 주력해야 한다는데 큰 무게가 실리고 있다.
12일 청송상가 및 주민들에 따르면 갈수록 어려워지는 경기불황속에 공직자들마저 지역상권을 외면하고 있어 생활고는 이미 최하위 수준을 넘었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이는 주 5일제가 정착되어 감에 따라 공직자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인사들이 주말이면 청송을 벗어나 타지역에서 여가를 즐기는가 하면 생필품도 대도시 대형 할인매장을 이용하고 있어 지역상권은 밑바닥을 맴돌고 있다는 것.
사정이 이렇다보니 음식점과 마트, 잡화점 등 지역민들을 상대로 생계를 이어가는 상인들은 늘 울상들이다.
지역주민들은 이젠 청송의 경기는 전 공직자들이 힘을 모아줄 때라고 입을 모았다.
주거의 자유가 보장돼 있기는 하지만 지방자치 시대를 맞아 청송에서 근무를 하고 그 댓가를 받으면 이젠 청송인으로서의 주거도 이루어줘야 된다는 지적이다.
지난해말 기준 청송군의 인구는 2만6천745명으로 남자 1만3천214명, 여자 1만3천531명으로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이 가운데 청송군청의 공직자는 471명으로 가장 많지만 안동 등 외부에서 출퇴근하는 공무원은 125명으로 27%를 차지하고 있다.
외부에서 출퇴근하는 공직자들 대부분은 자녀들의 교육문화여건 등을 이유를 들고 있지만 지방자치시대에 걸맞지 않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또 교육청, 농협, 의료보험공단, 한전, KT, 등 청송군 공공기관의 상당수 직원들도 외지에서 출퇴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물론 공직자들이 청송에 머무른다고 해서 모든 상권이 회복되는 것은 아니지만 청송인이라는 자부심이 조금만 있어도 경기 회복에는 큰 힘이 된다”고 말했다.
청송군의 경우 지역경기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까지 재래시장 장보기 운동, 청송사랑카드 발급 등도 펼쳤지만 일시적인 생색이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청송 재래시장의 경우 수십년전과는 달리 지역 소수 상인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외부 상인, 즉 보따리식의 상인들이 주를 이루고 있어 지역상권회복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역상인과 주민들은 이젠 청송군이 말로만 떠드는 경기회복보다는 주민들이 피부에 느낄 수 있는 경기회복정책을 펼 때라고 말하고 있다.
특히 한 음식점 주민은 “청송군의 수장인 군수는 이제 부자되는 명품청송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지켜줘야 할 것”이라며 “진정 군민을 생각하는 청송행정을 펼쳐주길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김종철기자 kjc2476@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