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미세수술로봇 `손` 능력향상 기술 찾아

김남희기자
등록일 2011-12-08 21:55 게재일 2011-12-08 6면
스크랩버튼

포스텍 강관형 교수·박사과정 김원경씨

전기수력학적 펌프 개발… 기술 우위 확보

정확성과 세밀함이 요구되는 미세수술로봇의 `마이크로 핑거(micro finger)`에 사용되는 전기수력학적 펌프의 크기를 대폭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7일 포스텍(총장 김용민)에 따르면 기계공학과 강관형(43) 교수·박사과정 김원경(26)씨 팀은 간단한 전극 구성만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 액체인 무극성 액체를 이송할 수 있는 전기수력학적 펌프를 개발해 냈다.

펌프는 무극성 액체에 전기장과 전기전도도가 균일하지 않게 분포할 때 발생하는 유도전하와 유동을 이용한 새로운 개념의 펌프로 전극의 부식이나 액체의 변성을 일으키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술은 최근 응용 물리학 분야 권위지인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Applied Physics Letters)`지를 통해 발표됐다.

그동안 전기수력학적 펌프에 사용되는 유체는 수용액 등으로 한정되는 단점이 있었다. 일본에서 일부 특정 무극성 액체에 적용 가능한 마이크로 펌프를 개발하기도 했지만 그 종류는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전기수력학적 펌프는 전기에너지를 유체의 운동에너지로 직접 변화시켜 움직이는 장치다. 아주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유체를 움직일 수 있어 소형 기계장치나 마이크로 로봇 등에 사용된다.

이 기술은 마이크로 채널에서의 무극성 액체 이송과 함께 소음과 진동이 적은 초소형 냉각기, 마이크로 로봇 부품, 소형 강제유압냉각식 변압기 냉각부품 등에 활용될 전망이다.

강 교수는 “전기수력학적 펌프는 미세한 부위에 활용되는 미세수술 로봇의 `손` 부분에도 적용할 수 있다”며 “특히 이 펌프는 일본과는 원리가 다르고 적용되는 무극성 액체의 종류도 많아 우리가 기술적, 경제적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으로 수행됐다.

/김남희기자

유도전하

전자적(電磁的) 성질을 가진 물체가 물리적 접촉 없이 가까운 물체에 전하나 자기를 발생시키는 현상을 유도라 하며, 여기서 발생된 전하를 가르킴.

유동(流動)

액체 상태의 물질이나 전류 따위가 흘러 움직임

포항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