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포스텍에 따르면 차형준 교수와 최유성 박사(현 충남대 화학공학과 조교수), 양윤정 연구원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최근 말미잘 단백질의 유전자를 재설계해 새로운 실크단백질을 미생물을 통해 만든 뒤 실크섬유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지금까지 누에나 거미, 개미나 벌에서 실크 단백질이 보고됐지만 해양생물을 통해 실제로 만들어진 실크섬유는 말미잘 유래 실크섬유가 처음이다.
그동안 연구팀은 유럽 및 미국연안에 서식하는 `스타렛 말미잘`이 가벼운 자극에도 팽창과 수축을 하며 이때 길이가 최대 5~10배까지 차이 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착안해 실크와 유사한 성질의 단백질이 있을 것으로 보고 말미잘의 유전자 서열을 분석했다.
말미잘 단백질은 실제로 거미실크단백질의 한 종류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팀은 대장균을 통해 말미잘의 단백질을 재조합했고, 말미잘의 특성을 그대로 모방한 실크단백질을 만들었으며 이를 섬유형태로 가공하는 데 성공했다.
실크단백질은 신축성이 뛰어나고 강도가 높아 단순히 섬유뿐 아니라 분말이나 젤 등 다양한 형태로의 성형이 가능해 의공학은 물론 조직공학, 수술용 봉합사, 약물전달물질이나 화장품, 방탄소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김남희기자 ysknh0808@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