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민의 모임은 최근 경산시 직장협의회가 인사 청탁 및 인·허가사업과 관련해 뇌물수수혐의로 구속된 최 시장사건과 관련, 자정결의대회를 열고 “시정 공백을 최소화하고 참된 공직자의 자세를 확립 하겠다”며 의지를 다지는 것과는 달리 논평 한 마디내지 않아 시민단체로서의 정체성에 논란이 일고 있다.
경산시는 지난 1일 직장협의회 주관으로 `내부 결속을 강화하고 법과 질서를 지키며 원칙과 신뢰가 존중받고 균형과 조화가 어우러진 경산을 건설 하겠다`는 등 6개 항목을 내걸며 결의 다졌다.
하지만, 시민들은 소신과 원칙 없는 인사 등에 말문을 닫고 있던 직장협의회가 최 시장이 구속된 후에야 행동에 나선 것은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격이라며 쓴 소리를 내뱉었다.
그나마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이라는 지적에도 행동에 옮긴 직장협의회는 관계기관이나 시민단체에 비해 양심적이라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그런데 시의 보조를 받는 새마을회 등 36개 유관(사회)단체는 이번 논란에서 제외하더라도 시민단체인 경산시민의 모임의 외면은 여러 가지를 생각하게 하고 있다는 것.
시민들은 “25만의 시민이 탄 경산호가 좋지 못한 사건으로 선장을 잃고 표류할 지경에 처했는데 어떠한 행동도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 의심스럽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특히 이마트 경산 입점 때와 경산공설시장 현대화에 따른 노점상 문제, 성암산 고속도로 노선 통과 등에 반대 뜻을 표명하고 홈플러스 경산 입점과 경상병원 해직근로자의 고용승계 등에 의견을 낸 이전의 시민단체의 행동과는 사뭇 달라 의구심을 떨쳐 내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경산 시민의 모임이 목소리를 높인 곳은 소수의 이해타산과 반대급부를 기대할 수 있는 현장이 많아 금전적인 이해를 따라 움직인다는 평가마저 받고 있다.
시민 김모(43·정평동)씨는 “타 지자체 시민의 모임은 제 목소리를 내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경산시민의 모임은 편향적인 목소리를 내는 느낌”이라며 “앞으로 시민을 대표하는 모임이 되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