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새...박 성 우

윤희정 기자
등록일 2011-07-27 20:33 게재일 2011-07-27 18면
스크랩버튼
공중에 발자국을 찍으며 나는 새가 있다

제 존재를 끊임없이 확인하기 위해

지나온 흔적을 뒤돌아보며 나는 새가 있다

그 새는 하늘에 발자국이 찍혀지지 않을 땐

부리로 깃털을 하나씩 뽑아 던지며 난다

마지막 솜털까지 뽑아낸 뒤엔

사람의 눈으로 추락하여 생을 마감한다

오늘은 내가 그 새의 장례식을 치른다

저 하늘의 새털구름

그 새의 흔적이다

공중에 발자국을 찍으며 나는 새의 이미지는 허공을 짚고 내려오는 거미의 그것에 비할 때 시적 자아의 강력한 확장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줄을 타고 내리는 거미의 행로는 결국은 피동적이고 존재구속적이다. 반면에 새는 거리낌 없이 비상하며 자유를 만끽하는 것이다. 시인은 자유의 실현 자체에 무게를 두는 것이 아니라 자유의 실현에 따른 존재확인의 요구, 또 다른 구속이다. 어쩌면 시인 자신의 존재가 이와 다를 바가 없다는 인식에서 씌여진 시라 할 수 있다.

<시인>

종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