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의약품 10% 슈퍼판매, 생산유발 효과 460억 추산”

연합뉴스 기자
등록일 2011-06-24 20:41 게재일 2011-06-24 13면
스크랩버튼
일반의약품의 10%를 약국 외 장소에서 팔 수 있도록 하면 46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고 현대경제연구원 장후석 연구위원이 23일 밝혔다.

장 위원은 `일반의약품 약국외 판매의 경제적 효과` 보고서에서 “2009년 국내 일반의약품 생산 실적(2조5천억원)을 기준으로 단계별 전환 비율을 가정해 일반의약품 약국 판매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10% 전환시 460억원의 생산유발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고 밝혔다.

일반의약품의 약국외 판매 전환 비율이 50%에 달하면 2천300억원, 95%에 달하면 4천360억원의 생산유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일반의약품을 약국 외에서 판매할 때 나타나는 취업유발효과는 10% 전환시 약 220명, 50% 전환시 약 1천110명, 95% 전환시 약 2천110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장 위원은 “일반의약품의 약국 외 판매를 늘리면 국민 측면에서는 약값과 진료비 하락을 통해 가계의료비 부담을 덜 수 있고, 제약사 측면에서는 단기적 효과를 기대하긴 어려우나 장기적으로는 매출 증대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일본의 경우 슈퍼 판매 초기 일반약 매출이 증가한 제품군은 드링크류가 두드러졌고 나머지 품목은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한 점을 미뤄볼 때 지나친 낙관론은 경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 위원은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일반의약품의 약국 외 판매는 시행에 따른 파급 효과를 고려해 일반의약품 중 안전성이 확보된 가정상비약 수준의 약품부터 시작해 점진적으로 대상을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