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빵과 떡

손경호(수필가)
등록일 2011-06-13 21:06 게재일 2011-06-13 23면
스크랩버튼
빵이란 말은 포르투칼어로 세계 공통어이다. 빵은 인간의 목숨이다. 스페인 속담에 “빵없는 날처럼 해가 긴 날은 없다”했다. 빵 때문에 다툼이 있고 전쟁이 있으며 불화가 있고 그곳에 범죄가 있다. 그래서 독일의 시인 괴테는 “눈물과 함께 빵을 먹는 자가 아니고서는 인생의 맛을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빵은 인민의 권리이며 빵을 배급하는 자는 권력을 배급한다고 한다. 사람이 날만 새면 활동하고 설친다. 그 이유는 빵을 얻기 위해서다.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에 보면 빵이 있다면 어떠한 슬픔도 견디어 갈 수 있다. 조금이라도 슬픔으로 말미암아 맛이 싱거워질 일이 없을 만큼 순수한 행복이 찾아온다는 것은 좀처럼 있는 일이 아니라고 한 것이다. 오늘날 지구촌에는 빵을 먹지 못하고 굶어 죽어가는 사람이 하루에도 수 천명이라 한다. 이런 시점에 빵에 질린 민족에게 우리의 떡이 존재 가치를 높이고 각광을 받고 있다. 88올림픽, 월드컵, 아시안게임, 각종 국제회의를 거친 한국에 떡문화가 세계로 퍼지게 되었고 가장 처음 알려진 웰빙음식으로 칭송을 받는 떡볶이가 그 대표적이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떡볶이가 떡의 종류나 대표가 될 수 없는 하급이다. 우리 고유의 떡은 그 종류도 다양하며 맛과 빛깔과 모양도 가지각색이다. 그리고 그 지방마다 유래와 특색이 있는 것이 있어 우리의 문화와 풍습과도 깊은 관계가 있다. 우리말에 보통 떡이라 하면 곡식가루를 찌거나 삶아 익힌 음식의 총칭이다. 떡의 종류는 어떤 곡식으로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이름도 다르다. 빚는 떡- 송편, 치는 떡- 인절미, 찌는 떡-호박떡·밤설기, 지지는 떡-부추·진달래꽃 떡, 삶는 떡- 찰보리 경단 등 가지 수도 많다. 지방마다 특색있는 전통의 떡이 있어 그 나라의 역사와 전통과도 깊은 관계를 한다. 건강에 좋은 고물떡도 있고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무지개떡, 기자떡, 물들인 떡으로 자연색의 맛이 국민을 대변하고 있는 것이다.

/손경호(수필가)

종합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