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경산시의 이태암 부시장과 이승환 기획예산담당관 등은 청도군을 찾아 백선기 부군수, 김태율 기획실장 등과 행정협의회를 갖고 자원회수시설과 경산 남천면 하도리 폐기물처리시설, 경산공원묘지 관련 민원사항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합의점을 찾았다.
1일 100t의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자원회수시설에 대해 인근 청도군 산동지역 주민들이 소각장 설치반대 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지난 3월 15일 경산시와 청도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업중단을 요구한 바 있다.
이날 협의회는 2008년 5월부터 청도군과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온 경산시 자원회수시설 설치사업과 관련해 환경오염물질 배출농도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TMS시스템을 구축해 다이옥신 등의 오염물질 배출 피해를 미리 방지하고 동등한 조건의 간접영향권을 설정해 주민지원기금은 주민협의체를 별도 구성해 사용하기로 했다.
또 자원회수시설에 청도군 영향권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의 반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민원이 제기된 남천면 음식물쓰레기 재활용시설과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 등 폐기물처리업 관련 사안은 해당 업체에 악취방지시설과 위생점검 등 행정지도를 통해, 경산공원묘지는 잔디와 담쟁이 등 친환경적인 묘원으로 미관을 개선하고 앞으로 허가 사유가 발생하면 청도군과 사전에 협의하도록 했다.
청도군과 경산시는 지난 1995년 4월 협의회를 구성했으나 이날 협의회가 첫 번째 일만큼 협의체 운용에는 미온적이었다.
양 지자체는 “이번의 협의회가 지역분쟁의 사전해소라는 측면에서 의미있는 자리였고 첫술에 배부를 수 없듯이 이제 시작하였으니 시작이 반이라는 마음가짐으로 앞으로도 이러한 자리를 자주 마련해 지역 간 상생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라고 밝혔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