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울증은 처음 70% 정도는 우울증으로 시작하며 다음 재발에 조울증이 나타나거나 몇 번 우울증을 앓고 난 후 조증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어 초기 우울증 관리가 철저하다.
◇조울증 환자, 5년 새 28.8% 증가
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지난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조울증에 대한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이 5년 사이 28.8% 늘었다.
2006년 4만2천530명이었던 환자 수는 2007년 4만5천747명, 2008년 4만8천677명, 2009년 5만2천887명, 2010년에는 5만4천792명으로 연평균 6.6%씩 늘었다.
이처럼 환자 수가 증가하자 2006년 418억원이던 조울증 관련 총진료비는 작년에는 668억원으로 5년간 59.7%(약 250억원) 급증했다.
성별 환자 비중은 여성이 57.5%(이하 2010년 기준)로 남성(42.5%)에 비해 높았고 연평균 환자 증가율도 여성이 7.3%로 남성(5.6%)을 웃돌았다.
연령대별 분포를 보면 40대(21.4%), 30대(21.2%) 비중이 가장 높았고 50대(17.1%), 20대(15.7%), 60대(10.6%)가 그 뒤를 이었다.
우울증은 통상 고연령층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반면, 조울증은 비교적 젊은 연령층도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이 확인된 것이다.
조울증 발병이 20~40대에 집중되는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취업, 결혼, 성공 욕구 등 사회생활에 대한 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 월별 추이를 보면 3월에 증가율이 가장 높은데 이 원인도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우울증이나 조울증 치료로 증세가 호전되는 과정에서도 새해 첫 계절인 봄, 새 학기 등을 맞은 환자가 상대적 박탈감 등으로 심리적 위축이 심해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큰 일기 차도 감정 기복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심평원은 “조울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약물처방과 함께 돌발행동으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 하기 위해 입원치료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며 “치료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주위의 사람들이 환자에게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조울증 증상은
조울증은 기분이 심각하게 들뜬 상태가 지속되어 자신이 실제보다 매우 대단하게 느껴지게 된다. 공격적이며 충동적이고 낭비적인 측면이 부각된다.
반면 우울증은 매사에 무기력해지고 쓸데없는 죄책감에 사로잡혀 있으며 자신감이 사라지고 불면증 등에 시달리게 된다.
조울증은 처음 70% 정도는 우울병으로 시작한다. 다음 재발에 조울증이 나타나거나 몇 번 우울증을 앓고 난 후 조울증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10대~20대에 우울증 치료를 적절하게 해 재발을 막기 위한 장기적인 치료 전략이 필요하며, 단기적인 치료에만 집중되어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조울증은 극단적인 기분상태의 변화로 예측 불가능한 돌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우울증보다 심각하다고 알려졌다.
특히 조울증을 앓는 환자의 주변 사람들은 평소와 다른 과도한 행동을 하는 `조증`일 경우만 문제를 인식하게 되는데 실제 조울증 환자는 감정이 급격히 가라앉은 `우울`상태에서 고통을 더 느끼게 되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조울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약물처방과 함께 돌발 행동으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입원치료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치료를 위해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주위사람들 또한 꾸준한 노력으로 환자에게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승희기자 shchoi@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