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릉주민·의회, 경비행장 건설 무산 강력 반발

김두한기자
등록일 2010-12-08 21:26 게재일 2010-12-08 8면
스크랩버튼
【울릉】 속보=울릉도 주민 숙원사업인 경비행장건설이 무산<본지 6일자 8면 보도>되면서 울릉군의회와 주민들이 강력 반발하고 있다.

울릉경비행장 건설사업은 국토해양부가 지난해 2월 한국교통연구원에 의뢰, 1여 년간의 용역을 통해 타당성이 입증됐으나 최근 기획재정부가 의뢰한 KDI(한국개발연구원)에 의해 타당성이 없다는 결론이 내려지면서 최근 무산됐다.

이 사업은 지난 1970년 독도영토주권 등 안보적 차원에서 박정희 대통령 의해 최초로 타당성 조사가 이뤄졌으며 이후 이명박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역대 대통령의 공통 공약사업으로 추진됐다.

많은 예산을 들여가며 타당성 조사 등이 지속추진된 울릉 경비행장건설은 이명박 정부가 들어 국토해양부가 강력한 의지로 추진했으나 결국 무산되자 주민들은 수 십 년의 국책사업을 단순히 경제적 측면으로만 접근하는 무리이며 주민을 우롱하는 처사라며 비난하고 있다.

울릉도 한 주민은 “수 억을 들여 타당성 조사를 한 국가 인증 두 기관이 극과 극의 결과를 내놔 국가 예산낭비는 물론 울릉주민들에게 크나 큰 상처를 안겼다”라고 말했다.

또다른 주민들은 “최첨단 21세기를 맞아 세계에서 유례 없이 연간 100여 일이 완전히 고립되는 울릉도 주민 및 관광객은 물론 독도영토주권사수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며 “군함, 해경경비함이 정박할 수 없는 울릉신항 2단계 공사 방파제에 안보를 이유로 활주로 건설 예산을 절감했다. 이번에도 울릉도 안보는 정책적 판단에 포함시키지 않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분개했다.

한편 울릉군과 울릉군의회는 경상북도 시장군수협의회와 시·군의장협의회와 연계해 울릉도 경비행장 건설의 당위성을 청와대를 비롯한 관계부처, 기관에 제출하는 등 강력 대응할 방침이다.

/김두한기자 kimdh@kbmaeil.com

종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