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타임이 뽑은 외교 망신·해프닝 10選

연합뉴스 기자
등록일 2009-09-30 19:57 게재일 2009-09-30 19면
스크랩버튼
의전과 격식을 중시하는 국제 외교무대에서도 황당한 해프닝이나 결례가 가끔 발생한다.

각국 정상들이 잇따라 연단에 오르는 유엔 무대에서도 23일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 원수가 돌출발언과 이색행동으로 눈총을 받았다. 사상 처음으로 유엔 총회에 참석한 카다피는 길고 품이 넓은 리비아 의상을 입고 등장해`왕중의 왕`으로 소개를 받고 느릿느릿 연단에 올라선뒤 할당된 15분을 훨씬 넘겨 90분 동안 장광설을 늘어놔 빈축을 샀다.

각국 정상이나 지도자들의 비외교적 행태는 그 예를 어렵게 않게 찾을수 있을 정도로 빈발해 시사주간 타임은 지난 3월 초 국제무대에서 벌어진 다양한 `비외교적 행태`를 모아 집중 보도하기도 했다.

당시 외교망신 1위의 불명예 기록은 2월 로마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 회의기간에 열린 기자회견에서 만취한 듯 기자들 질문에 답변을 못하고 횡설수설하는 추태를 보인 나카가와 쇼이치(中川昭一) 전 일본 재무상 겸 금융상이 차지했다. 그는 귀국 후 감기약을 과다 복용한 탓이라고 해명했으나 국내외 언론에서는 폭음 의혹을 제기했고, 결국 사퇴해야 했다. 2위는 재임 중 과도한 음주와 공개석상에서의 춤 등 각종 해프닝을 다양하게 연출했던 보리스 옐친 전 러시아 대통령이 차지했다. 이어 2007년 6월 주요 8개국(G8) 정상회의 때 술을 전혀 입에 대지 않는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당시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동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약간 술에 취한 듯한 모습과 비틀거리는 모습을 보였다가 동메달을 받았다. 해프닝과 실수에서는 빠질 수 없는 지도자가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 그는 2006년 러시아에서 열린 G8 정상회담에서 마이크가 켜진 것을 모르고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와 사적대화를 나누면서 “어이, 블레어(Yo, Blair)”라는 점잖지 못한 용어에서부터 헤즈볼라 등 이슬람 무장세력과 이들을 지원하는 시리아에 “진절머리난다”고 말하는 모습이 생중계됐다.

./연합뉴스

종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