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동서횡단 고속철도 건설사업은 지역화합·국토균형발전의 열쇠”

박순원기자
등록일 2009-06-26 11:58 게재일 2009-06-26 4면
스크랩버튼
동서횡단 고속철도 재조명

동서횡단 고속철도의 건설 사업은 지난 정부의 제1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 제외됐다. 철도 건설에 비해 이득이 낮다는 것이 제외의 배경이었다. 하지만 당시 정부의 계획은 포항의 영일만항과 새만금 개발을 염두에 두지 않았던 사업. 따라서 환태평양 물류 기지로서의 포항과 새로운 공업단지로서의 새만금을 연결하는 구간으로의 동서횡단 고속철도를 조명해본다.

<편집자 주>

김천에서 전주에 이르는 97.4km 구간을 이어, 장래에 포항과 새만금을 연결시킨다는 계획인 동서횡단철도 건설에 대한 움직임이 뜨겁다.

더욱이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정책 화두가 `지역화합`이었다는 측면에서 철도 건설 사업이 탄력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여기에다 부산과 인천에 이은 새로운 물류항구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경북권으로써는 환태평양의 중심 항구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는 상황.

이와 관련, 동서횡단철도 김천에서 전주구간은 지난 제1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 타당성이 낮아 추가검토대상사업으로 반영됐었지만, 근래 들어 새만금 지구와 포항의 영일만 신항이 대두되면서 “2010년에 추진중인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마련시에 교통수요와 지역여건 변화 등을 고려해 타당성을 면밀히 검토 후 법정계획 반영 여부를 재결정한다”는 것이 국토해양부의 설명이다.

실제로 김동선 대진대학교 교수는 “장래수요 예측결과, 여객수요는 2010년에 4천763명(인/일), 2036년에 7천231명(인/일)으로 분석됐으며 화물수요는 2016년에 3천363t(t/일), 2036년에 4천418t(t/일)로 분석되고 있다”며 “정책적 측면과 지역균형발전 측면을 종합해 고려한 결과, 사업의 시행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또 “본 과업노선은 경북권과 전북권을 연계함으로써 환황해경제권의 물류수송의 기간망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특히 동서4축 간선철도망 완성의 가교 역할을 담당하는 중요 노선”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김 교수는 “김천은 동서4축과 더불어 남북3축 간선철도망의 십자형 결절점을 형성하는 집분산지역”이라면서 “이번 사업은 단일철도건설사업의 파급효과를 일정부분 이상 상회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송하진 전주시장 역시 “전주에서 김천 간 철도의 경제성 분석 결과, 단선으로 건설시 B/C(편익/비용) 비율이 0.72로서 비록 경제적 타당성은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물동량과 관광자원이 풍부한 새만금 지역까지 연장 건설한다면 B/C 비율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기대감은 박보생 김천시장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박 시장은 “동서횡단 철도의 건설은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한 필수 사업 ▲동서화합과 문화교류를 위해서 건설 필요 ▲환황해권, 환동해권 동반 발전 ▲저탄소 녹색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며 “동서간 인적·물적·문화적 교류 및 동반성장과 동서화합 차원의 광역철도교통망 조기구축과 포항에서 새만금 간 국가철도망 구축 수정계획에 대한 반영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박순원기자 god02@kbmaeil.com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