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만에 최저 … 10%는 한-외국인 부부
지난해 이혼 건수가 5년째 감소하며 이혼율이 11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50대 이상 부부의 이혼은 늘어났다.
외국인과의 이혼이 급증하면서 한국인-외국인 부부의 이혼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의 10%에 육박했다.
◇이혼 5년째 감소
50대 이상 늘어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08년 이혼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이혼은 11만6천500건으로 2007년의 12만4천100건에 비해 7천500건(6.1%) 줄었다. 홧김 이혼을 줄이기 위한 이혼숙려제 시행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혼 건수는 2003년 16만6천600건으로 정점을 찍은 뒤 5년째 감소한 것으로, 10년 전인 1998년의 11만6천300건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인구 1천명당 이혼 건수인 조(粗)이혼율은 2.4건으로 전년보다 0.1건 줄면서 1997년 2.0건 이후 11년 만에 가장 적었다.
배우자가 있는 인구 1천명당 이혼 건수를 나타내는 유배우 이혼율은 4.8건으로 0.4건이 각각 줄었다. 100쌍에 0.97쌍 꼴로 헤어진 셈이다.
연령별로는 남자는 40∼44세가 2만2천200건, 여자는 35∼39세가 2만3천500건으로 가장 많았다. 작년에 이혼한 남자의 68.3%, 여자의 70.1%가 30∼40대였다.
20년 이상 동거한 부부의 이혼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7년의 20.1%에서 23.1%로 높아졌다. 10년 전 12.4%의 배 수준이다. 평균 동거기간도 12.8년으로 전년보다 0.5년, 10년 전보다 2.1년 증가했다.
◇男 44.3세 女 40.5세 이혼
성격차 이혼 사유는 성격 차이가 전체의 47.8%로 가장 많았고 경제문제(14.2%), 배우자 부정(8.1%), 가족간 불화(7.7%), 정신·육체적 학대(5.0%), 건강(0.6%) 순이었
평균 이혼 연령은 남자 44.3세, 여자 40.5세로 전년보다 각각 1.1세, 1.0세 상승했으며 10년 전보다 남자는 4.6세, 여자는 4.4세 높아졌다. 이는 초혼 연령이 상승한데다 20년 이상 동거한 부부의 이혼 비중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외국인과 이혼 30%↑… 전체 9.7% 차지
한국인과 외국인 부부의 이혼은 1만1천255건으로 전년보다 29.8% 증가했다.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 부인과 이혼은 7천962건으로 전년보다 39.5% 급증했고 한국인 부인과 외국인 남편의 이혼은 3천293건으로 11.1% 늘었다.
급증하고 있는 한국 노총각과 중국 및 동남아시아권 신부들의 결혼 생활이 순탄치 않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외국인과의 이혼은 매년 증가해 지난해의 경우 총 이혼의 9.7%를 차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