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盧 "100만弗 용처 못 밝히겠다"

연합뉴스
등록일 2009-04-28 21:11 게재일 2009-04-28
스크랩버튼
노무현 전 대통령은 정상문 전 대통령 총무비서관이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에게서 받아 대통령 관저로 전달한 100만 달러와 관련해 “사용처를 못 밝히겠다”는 취지의 답변을 한 것으로 27일 확인됐다.


노 전 대통령은 대검 중수부가 보낸 서면질의서에 대해 본인이 직접 작성한 답변서 A4용지 16장을 지난 25일 이메일로 보냈는데 ‘피의자로서의 권리’를 강조하면서 100만 달러의 사용처를 묻는 질문에 이같이 적었다는 것이다.


피의자로서의 방어권을 행사하기 위해 숨길 부분은 숨기고 자신에게 유리한 부분만 진술하겠다는 취지에서 100만 달러의 사용처도 밝힐 수 없다는 점을 명시한 것으로, 검찰 소환조사에서도 같은 입장을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권양숙 여사도 이달 11일 부산지검에서 진행된 참고인 조사에서 ‘채무 변제에 썼고 남편은 몰랐다’고 주장하면서도 사용처를 함구한 바 있다.


검찰은 “노 전 대통령이 직접 전화를 걸어 100만 달러를 요청했다”는 박 회장의 진술과 노 전 대통령 부부가 100만 달러를 전달받은 다음 날인 2007년 6월30일 출국한 점에 비춰 미국 시애틀에 들렀을 때 장남 건호씨에게 돈을 전달했을 가능성을 의심해 왔다.


검찰은 100만 달러가 현금이라서 추적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노 전 대통령 측이 이 돈을 어떠한 채무 변제에 썼는지 밝히면 이를 토대로 진실인지, 노 전 대통령은 몰랐다는 말이 사실인지 확인해보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 측의 문재인 전 청와대 비서실장은 “의도적으로 진술을 하지 않는다거나 거부할 생각은 전혀 없다”며 “아는 것은 아는 대로, 모르는 것은 모르는 대로 답변한 것이다. 알고 있는 범위에서 답변했고 앞으로도 그렇게 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검찰은 100만 달러를 대통령 관저로 전달한 정 전 비서관이 이 돈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다고 보고 정 전 비서관을 이날 또 구치소에서 불러내 추궁한데 이어 노 전 대통령 소환 직전까지 집중 조사하기로 했다.


검찰은 노 전 대통령 재소환은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신문 상황에 따라 박 회장 또는 정 전 비서관을 대질신문할 수 있도록 이들을 소환 당일 대검청사에서 대기토록 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종합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