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9월부터 4대강 살리기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물부족과 가뭄을 막기위해 12억5천만㎥의 용수를 확보하는 한편 2012년까지 4대강의 90%이상을 2급수로 개선할 계획이다.
정부는 27일 오후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4대강 살리기 합동보고대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수립을 5월말까지 확정해 수립할 것이라고 보고했다.
이날 중간 보고된 마스터플랜에는 물부족과 가뭄방지를 위하 충분한 수량 확보전략, 생태 및 수질 개선 전략, 지역발전 및 문화전략 등이 종합적으로 담길 예정이며, 정부는 마스터플랜이 나오면 전문가 자문, 정부위원회 및 관계기관 협의, 지역별 설명회, 정부고시, 주민보상, 환경영향평가 등 절차를 거쳐 9월부터 가능한 구간부터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
국토해양부는 중간보고를 통해 이번 마스터플랜의 목표를 ‘4대강 살리기를 통한 국토 재창조’로 설정하고 ▲물확보 ▲홍수방어 ▲수질개선과 생태복원 ▲주민과 함께 하는 복합공간 창조 ▲강중심의 지역발전 등을 5대 핵심과제로 제시했다.
먼저 물확보와 관련, 국토해양부는 오는 2011년 8억㎥, 2016년 10억㎥로 예상되는 물부족과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하도 정비, 농업용 저수지 증고, 중소규모 댐 건설 등을 통해 총 12억5천만㎥의 용수를 확보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낙동강에 8개의 보를 설치하는 등 4대강에 보 16개를 설치하고, 낙동강에 송리원(경북 영주)·보현댐(경북 영천)을 건설하고, 안동∼임하댐을 연결해 2억5천만㎥를 확보하는 등의 계획이 포함돼 있다.
또 낙동강에 있는 31개 농업용 저수지를 포함해 모두 96개의 저수지의 둑을 높여 2억4천만㎥의 용수를 확보할 예정이다.
홍수방어대책으로는 200년 빈도 이상의 홍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퇴적토 준설, 노후제방 보강, 댐 건설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수질개선과 생태복원을 위해 중점·핵심관리유역 지정과 관리, 하수처리시설 확충 등으로 2012년까지 본류를 2급수(BOD 3ppm 이하) 수준으로 개선하고, 생태하천 및 습지 조성, 농경지 정리 등을 통해 생태를 복원한다.
하천을 생활·여가·관광·문화·녹색성장 등이 어우러지는 다기능 복합공간으로 개조하기 위해 1천411㎞에 이르는 자전거길을 조성하는 한편 도시지역은 산책로·체육시설 등을 설치하는 등 체험관광 활성화를 도모한다.
이밖에 강 살리기로 확보되는 인프라와 수변경관을 활용한 관계 부처의 다양한 연계사업 추진으로 지역발전에 기여한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