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간 갈등ㆍ이견 최소화에 집중"
안동시가 지난달 도청이전지원단을 구성한데 이후 지난 6일 드디어 시청 제2청사에서 지원단 현판식을 열고 본격적인 업무에 돌입했다.
안동시 도청이전지원단은 앞으로 경상북도의 도청이전추진단과 긴밀한 협조를 통해 신도시 개발업무를 지원하는데 역량을 쏟을 방침이다.
한편, 최근 도청이전을 둘러싸고 유관기관 분산 이전론이 불거지고, 행정구역 통폐합 논의도 잊을만하면 수면위로 떠오르는 등 어려움도 적지 않다.
이 같은 상황에서 앞으로 도청이전 과정에는 다양한 변수가 작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안동시 지원단의 어깨가 무겁다.
- 안동시가 조직한 도청이전지원단의 역할은 무엇인가.
▲ 도청이전의 전반적인 업무는 경상북도 도청이전추진단이 맡고 있다. 그러므로 안동시 지원단의 1차적인 역할은 경북도 추진단의 업무를 현장에서 지원하는 것이다. 경북도와 안동시가 서로 협조해 이전 업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현장의 여론, 주민들의 요구를 수렴해 사업시행에 반영해야 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 도청이전 업무를 위한 경북도와 안동시의 조직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성돼 있나.
▲ 경북도는 지난해 11월13일 4개 담당 13명으로 ‘경상북도 도청이전 추진단’을 구성했고, 안동시는 지난달 26일자로 7명으로 구성된 ‘도청이전지원단’을 꾸렸다. 그러나 행정기관의 조직만으로 진행될 사안이 아니다. 경북 도민의 숙원사업이었던 만큼 도민의 지지와 성원, 특히 예천·안동 주민들의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
- 도청이전 사업의 현주소는.
▲ 지난해 6월 경북도 도청소재지가 안동·예천으로 확정되고 같은 해 9월, ‘경상북도의 사무소 소재지 조례’가 제정됐다. 이후 올 들어 3월9일 ‘경상북도 도청이전을 위한 도시건설 및 지원에 관한 조례’가 제정됨으로써 이전 사업은 본격적으로 탄력을 받을 예정이다. 이에 따라 안동시는 지난해 12월5일자로 ‘경상북도청이전 개발에 따른 지역의 대응방안 과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며, 지난 2월12일자로 ‘도청이전 신도시 건설 관련 안동시 도시기본계획’ 변경사업이 추진 중이다.
- 최근 도청유치에 나섰던 다른 시군에 도 산하 유관기관을 분산해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이에 대한 입장은.
▲ 도청유치를 위해 노력했던 도내 다른 지자체들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한다. 그러나 ‘도청신도시’가 도시로서 기능하려면 도 산하기관이 한 곳으로 집중적으로 이전해 와야 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유관기관이 여러 시군으로 분산된다면 결국 신도시의 기능이 저하되고 그 불편과 피해를 도민전체가 동시에 안게 될 우려가 있다.
- 안동시 지원단이 역점을 두고 추진할 부분은.
▲ 예천군과 안동시가 공동유치를 했기 때문에 신도시 및 경북도청 소재지의 명칭이나 주소문제 등 이해와 대화를 통해 합리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가 많다. 지금까지 잘 해왔던 것처럼 겸손한 자세로 일함으로써 도내 지자체간 갈등이나 이견을 최소화하는데 집중할 방침이다.
/이임태기자 lee7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