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공공건물 등 65%서 석면검출

김진호기자
등록일 2009-04-24 20:37 게재일 2009-04-24
스크랩버튼
서울과 대구를 포함한 전국 6대 광역시, 춘천 등지의 공공건물과 다중이용시설의 65%에 석면함유물질이 사용된 것으로 드러나 이들 건물의 안전한 유지·관리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23일 지난 2007년 7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 추진하고 있는 ‘석면관리 종합대책’에 따라 지난해 공공건물·다중이용시설의 석면함유 실태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336곳 중 217곳(65%)에서 석면함유물질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이용 빈도가 높은 주요 건축물의 석면사용 실태를 파악해 국민들을 석면노출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건축물 석면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추진됐으며, 서울과 6대 광역시, 춘천 등 8개 도시의 공공건물 224곳, 전국의 다중이용시설 114곳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다만 이들 건축물의 석면함유물질 사용비율은 65%이나, 비산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돼 향후 안전하게 유지·관리해 나가는 것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건물의 경우 주민센터·시청·구청 등 224곳의 1천613개 시료를 분석한 결과 170곳(76%), 525개 시료에서 석면이 검출됐으며, 천장재, 벽재, 가스켓 등의 석면검출 비율이 높았으나, 2000년 이후에는 석면사용이 감소돼 44.1%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들 시설의 실내공기중 석면농도 조사결과도 모두 기준 이내로 나타나 공기 중 비산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또 환경부는 ‘농가건물의 석면함유물질 사용 실태조사’결과도 함께 발표했는데, 전국 981개(호) 농가건물을 조사한 결과 슬레이트 지붕재를 사용한 비율이 372호(38%)(본채 기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노후화된 슬레이트 지붕재의 경우 풍화와 침식으로 표면 결합력이 약화, 비산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돼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노후화 가능성이 높은 60∼70년대에 설치된 슬레이트 지붕재 건물 비율이 67%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돼 철거 지원 등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된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

종합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