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겨울철 날씨는 서북풍이 매우 차갑고 매섭다. 이러한 기후 조건에 대응하기 위해 사람들은 집의 입지나 공간 구조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예를 들어,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지형을 갖춘 곳을 주거지로 선호하거나, 서북쪽에 산이나 나무가 부족한 경우에는 나무를 심어 바람을 막았다. 또한, 산이 없는 경우에는 흙으로 언덕을 만들어 그 위에 나무를 심어 주거지를 조성하기도 했다. 좌향론적 측면에서는 겨울철에 가장 오랜 시간 동안 햇빛을 받을 수 있는 서남향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또한, 방위에 따라 창과 문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북향인 경우에는 겨울철에 주로 사용하는 남쪽 문을 따로 두기도 했다.
조선시대 영일현은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기준으로 보면, 현재의 연일·대송·오천·동해·호미곶 대동배·남구 동 지역·북구 두호동에서 중앙동과 용흥동을 경계로 한 남쪽 지역을 말한다.
조선시대 군현별 지도 및 조선 전도 등을 수록한 ‘여지도(보물 제1593호, 편저 및 간행일자 미상-규장각 보관)’와 조선 후기 전국 군현 지도와 그 지방 형세를 수록한 ‘지승(편저, 간행일자 미상, 규장각 보관)’을 살펴보면, 둘 다 지도의 중앙에 남성리 영일읍성(구남성)이 그려져 있고, 동쪽에 성문이 하나만 보이며, 객사와 동헌은 직각 배치 형태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주로 읍성 안의 땅이 비좁을 때 쓰는 공간구성 방안이다.
지도 우측면에는 형산강과 칠성천 사이 솔숲이 그려져 있고 ‘북송전(北松田)’이라는 글씨가 또렷하게 쓰여져 있다. 인공숲이라는 의미로 밭을 의미하는 田(전) 자를 쓴 것으로 보인다. 또한 조선후기 편찬된 전국 군현 지도집 ‘광여도(1737(영조13)∼1776년(영조52) 간행, 규장각)’와 조선후기 편찬된 경상도 군현 지도집 ‘영남지도(1745∼1767년 제작 추정, 보물 제1585호, 규장각)’에는 둘 다 지도의 중앙에 생지리 영일읍성(고읍성)이 그려져 있는데, 읍치 뒤편 형산강과 바닷가 쪽으로 산이 그려진 것은 바닷바람과 겨울 서북풍을 막는 비보(裨補) 용도의 인공 숲 북송전으로 추정되지만 글씨가 없다.
경북마을지 상권 282쪽(생지리 마을의 역사, 경상북도·경북향토사연구협의회, 1990)에 북송전의 근거가 될 듯한 내용이 있다.
“1866년 현감 南順元 때 길이 7리, 너비 5리에 달하는 지역에 나무를 심어 큰 숲을 이루었는데, 지금은 느티나무와 팽나무 7-8그루만이 남아있다. 이곳을 생마루수(藪), 또는 연일신읍수(藪)라고 부른다.”
포항시사 연일읍 생지리 마을유래에는, “넓은 들판에 세차게 불어오는 바람을 막기 위해 팽나무와 느티나무를 6-8리로 심어 큰 숲을 이루었다. 이 나무들이 형산강 수로 변경과 도시화 과정에서 농지개발 등으로 훼손되었다”고 적고 있다.
광여도와 영남지도에서 영일현청이 연일읍 생지리 고읍성에 있을 때 연일읍 생지리에 ‘북송전’으로 추정되는 인공숲이 그려져 있지만, 여지도와 지승 지도에서 영일현청이 대송면 남성리 구남성에 있을 때, 이미 생지리에 ‘북송전’이 인공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면, ‘경북마을지’와 ‘포항시사’의 내용은 기존의 인공 숲에 추가로 숲 길이를 연장하였거나 죽은 나무를 베어내고 보식(補植)을 했던지, 아니면 대체목(代替木)을 심은 것으로 볼 수도 있겠다.
숲의 길이가 6∼8리라면 2.36km…3.14km 정도의 길이인데, 경북마을지의 폭 5리는 과장된 표현 같고, 길이가 5∼7리로 추정된다.‘포항시사’에서는 폭 언급이 없으나, 1938년 조선총독부에서 조사한‘조선의 임수’에 따르면, 장기 숲 폭이 393m, 흥해 북천수 폭이 150m 인 것을 보면, 북천수 폭에 가깝지 않았을까 유추해 볼 수 있다.
실제 ‘연일신읍수’로 추정되는 연일읍 생지리를 가보니 다행스럽게도 아직 흔적이 남아 있었다. 도시계획 도로를 개설하면서 훼손하고 남은 나무들이 일부 도로변에도 남아있고 자동차학원 부지 안에도 남아 있었는데, 연일읍 농업인 상담소 뒤편 도로(연일로 145번길-생지리496) 부지 북측 3그루, 남측 2그루, 자동차 운전학원(생지리136-5) 내 3그루 등 전체 8그루로 보이는데, 수종은 팽나무 7그루, 왕버들 1그루가 훼손의 아픔을 간직한 채 연일 대표 숲 ‘연일신읍수’의 흔적으로 남아 있었다. 2020년 정부는 ‘도시숲 조성법’을 제정했고, 각 지방자치단체는 도시 열섬 완화 숲, 미세먼지 차단 숲 등을 조성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숲을 만드는 일도 중요하지만, 선조들이 기후 환경에 지혜롭게 대응했던 숲을 복원하는 일 역시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된다.
조상들의 슬기로 조성된 인공 숲이 국가지정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관광객을 부르고, 시민들의 안식처로 사용되는 사례를 살펴보자.
박상구경주대 대학원 특임교수
통일신라 진성여왕 때 함양태수 최치원이 위천의 범람을 막고자 둑을 쌓고 그 둑을 따라 나무를 심어 숲을 만든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 숲이 상림공원(천연기념물 제154호)이고, 1745년(조선 영조 21) 하동도호부사였던 전천상이 강바람과 강물의 범람을 막기 위해 하동 송림공원(천연기념물 제445호)을 만들었으며, 고려말 안동김씨 김자첨이 안동에서 의성 사촌마을로 이주해 오면서 ‘서쪽이 허하면 인물이 나지 않는다’고 하여 조성한 숲이 사촌마을 가로숲(천연기념물 제405호)이다.
이들 숲의 공통점은 인공 숲이고 후대에 성심성의껏 관리해서 국가지정 천연기념물이 되어 관광객들이 휴식처로 찾는 최고의 공원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지역민들에게는 건강한 허파와도 같은 최고의 선물이 된 것이다.
‘시작이 반이다.’ 연일 대표 숲 ‘연일신읍수’복원의 그림이 해마다 더해져 소나무와 팽나무 그리고 느티나무가 어우러져 형산강과 영일만의 바람에 힘차게 가지를 부딪기를 소망해 본다.
202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