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정치

포항 선거구 2곳 경선…박명재 의원 공천 탈락

포항의 4·15 총선 판도가 경북도내 최고 관심지역으로 떠올랐다. 미래통합당 공천관리위원회는 지난 7일 전체회의를 열고 포항지역을 포함한 6개 선거구에 대해 경선을 실시키로 했다.통합당의 이번 포항 2개 선거구를 후보자 경선지역 선정은 대구 경북지역 현역 국회의원 공천 대학살에 버금가는 충격파를 던져주고 있다.포항북의 경우 현역인 김정재 의원이 경선대상자에 포함된 반면, 포항남·울릉은 현역인 박명재 의원이 컷오프되며 희비가 엇갈렸다.더욱이 경선에 참여하는 3명의 예비후보자가 모두 정치신인이라는 점이 이채롭다. 통합당 당원으로 오랫동안 헌신하며 지역정치기반을 단단하게 구축해 지역 터줏대감들이 경선참여 기회조차 얻지 못했다. 이들 지역 거물 정치인들의 향후 행보에 따라 포항지역 총선 선거판도는 상당한 회오리바람이 몰아칠 것으로 보인다.△포항 남·울릉 ‘정치신인 맞대결’포항남·울릉 선거구는 문충운(56) 미래통합당 미디어특별위원과 김병욱(42) 전 국회의원 보좌관의 경선 대결로 압축됐다.박명재 현역 국회의원과 이 선거구를 오랫동안 지켜왔던 김순견 전 경북도경제부지사를 비롯해 박승호 전 포항시장이 컷오프됐다.문충운 예비후보는 미디어특별위원은 포항 중앙초, 동지중, 서울 영동고를 거쳐 연세대 화학과 학·석사와 위스콘신·메디슨 대학원 화학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현재 일신상선(주) 대표이사로 재직 중이다.김병욱 전 보좌관은 포항고와 경북대 정치외교학과(학사), 연세대 행정대학원(석사)를 거친 후 2003년 강재섭 국회의원 인턴비서로 정치권에 몸담은 뒤 최근까지 이학재 국회의원실에서 보좌관을 맡았다.△포항북 ‘현역 의원 vs 언론인’포항북 선거구는 지역구 현역인 김정재(54) 국회의원과 강훈(50) 전 조선일보 논설위원이 경선을 치르게 됐다.김정재 의원은 포항여고와 이화여대 정치외교학 학·석사를 거쳐 미국 프랭클린피어스 대학원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고 서울시의원(7, 8대)을 지냈다. 지난 2016년 치러진 제20대 총선에서 당선된 여성 국회의원 26명 중 1명으로 자유한국당 원내부대표, 원내대변인, 재해대책위원장 등을 거쳤다.김 의원은 “당의 결정을 존중하며 ‘선당 후사’의 자세로 공정한 경선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강훈 전 논설위원은 항도초, 동지중, 포항고와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한 후 한국일보에서 언론인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조선일보 법조팀장, 논설위원, TV조선 탐사보도부장 등 25년간 언론생활을 했다.강 예비후보는 “젊고 능력과 개혁성을 바탕으로 경선에서 김정재 후보를 꺾고, 침체된 포항을 확 바꾸겠다”고 강조했다./박순원기자 god02@kbmaeil.com

2020-03-08

경북 정치권 “생활권·역사성 외면한 게리맨더링”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구 통폐합 및 분구 안이 발표되자 경북지역은 선거구 조정에 대해 일제히 ‘게리맨더링’이라고 비난하고 나섰다.4일 미래통합당 경북도당과 지역 정가 등에 따르면 경북 영양·영덕·봉화·울진 선거구를 영주·영양·봉화·울진과 군위·의성·청송·영덕 선거구로 조정한 것은 지역민들의 생활권과 역사성 등을 도외시한 일방적인 획정안에 불과하다고 반발했다.통합당 강석호(영양·영덕·봉화·울진)의원은 4일 성명서를 통해 “이번 선거구획정안은 혼란만 가중시키는 것으로 절대 수용할 수 없다”며 “반드시 수정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선거구 획정 기준인 지난 2019년 1월 인구 하한선은 13만6천565명으로 기존 영양·영덕·봉화·울진 선거구 인구는 13만7천992명이기 때문에 굳이 선거구를 재획정할 필요성이 전무하다는 것이다. 심지어 지난 2004년 총선부터 현재까지 영양·영덕·봉화·울진 선거구가 유지됐고 영덕과 울진은 경북 동해안 이웃 생활권으로 국책사업이 수십년째 연계된 곳이라는 점도 획정위는 고려하지 않았다.여기에다 공직선거법상 제25조 1항 2호의 ‘국회의원지역구 획정의 기준이 되는 인구는 선거일 전 15개월이 속하는 달의 말일 현재 주민등록법 7조에 따른 주민등록에 따라 조사한 인구로 한다’라는 규정에도 정면으로 위배된다. 또 공직선거법 제25조2항에 농·산·어촌을 배려한다고 명시된 사실에도 반영되지 않은 사항이라고 지적했다.결국, 선거구획정위가 서울시(605㎢)의 약 7.6배 크기에 달하는 강원도의 5개 군과 1개 시를 하나로 합쳐 속초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고성군 선거구로 발표한 것도 규정 위반의 표본인 셈이 됐다.이에 지역 정가는 이번 선거구획정위원회의 안에 대해 경북 지역별로 독특한 문화권이나 생활권, 교통권 등의 특성은 전혀 감안하지 않고 지도만 펴놓고 인구에만 집착한 나머저 무분별하게 선거구를 찢어버린 것에 불과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렇다보니 지나치게 먼 거리에 따른 교통 불편 사항도 반영되지 않고 생활권이 다른 지역이 하나의 지역구로 묶이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으로 변질됐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이런 지적은 지난해말 획정위원회가 경북도청에서 실시한 여론수렴과정에서도 경북 북부권을 중심으로 이미 제기된바 있고 획정위 관계자가 충분히 고려하고 있다는 답변과도 상당히 거리가 먼 안이 됐다. 이로 인해 지역정가는 당초 여야가 촉박한 선거일정에 따라 선거구 변화를 최소화하자는데 합의한 취지에도 어긋나는 누더기 선거구로 변질됐다는 불만도 터져나오고 있다.통합당 경북도당 측도 선거구가 대폭 조정되면 선거구별 예비후보 등록과 정당별 경선도 다시 시작해야 하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하게 돼 유권자 알권리가 심각하게 침해된다는 반응이다. 통합당 경북도당 관계자는 “이번 획정위 선거구 조정안 중 경북지역은 인구기준과 여야 합의도 무시한채 마련돼 지역 후보가 누군지도 모르는 ‘깜깜이 선거’로 볼 수밖에 없다”며 “특정 지역의 선거구가 통째로 바뀌는 이번 안을 제출한 것은 심각한 게리멘더링으로 비난받아 마땅하다”고 말했다.한편,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4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국회의원선거국획정위원회가 전날 제출한 4·15 총선 선거구 획정안을 재의해 줄 것을 요청했다. 행안위는 이날 전체회의에서 “획정위가 제출한 획정안은 공직선거법 25조 1항에 명백히 위반한다”며 위원 3분의 2 이상 찬성으로 재의 요구를 의결했다. 행안위는 전혜숙 위원장 명의로 획정위에 발송한 ‘재획정요구서’에서 “거리가 지나치게 멀고 교통이 불편하거나, 생활권이 다른 지역이 하나의 지역구가 됐다”며 “인구수에 비례한 선거구 획정이 이뤄지지 못해 지역간 의석 불균형이 심각하게 발생, 선거법 취지와 정신을 훼손했다”고 밝혔다. /김영태·박형남 기자

2020-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