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난 울릉지역 어민들<BR>정책 규탄 현수막 걸어
중국어선의 싹쓸이 조업, 메르스 여파로 인한 관광객 감소 등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는 울릉도 어민들이 뿔났다.
정부가 울릉도 어민들의 어려움을 도와주지는 못할망정 생계를 가장 위협하는 대형저인망(트롤)어선의 동해조업 구역확대와 채낚기 어선들의 광력기준 상향 조정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동해 오징어자원 어획제도 개선방안으로 대형 저인망 조업 제한 단계적 해제, 동해 구 중형 저인망 선형이원화 해소, 채낚기 어선의 광력기준 상향 조정 등을 최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대형 저인망어선은 동경 128도 기준 동쪽 해역 조업 제한, 대신 동경 128도 이남, 이서 수역에서만 조업, 일정 수 이상 대형 저인망어선을 늘리는 것도 금지돼 있다. 하지만 해수부의 이번 저인망어선 조업 구역확대는 울릉 해역을 비롯해, 경북, 강원 지역 연안의 채낚기 어민들까지 타격을 입히게 된다. 울릉도 등 동해안 어선들은 낚시로 오징어를 잡지만 대형 저인망어선들의 그물로 조업하기 때문에 조업구역 확대는 어민들의 생계를 위협할 수밖에 없다.
최근 중국어선들의 싹쓸이 조업으로 10년 만에 오징어 생산이 10분의 1로 줄어든데다 저인망어선의 동해안 조업확대는 오징어 씨를 말린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울릉도 어민단체 및 어촌계, 상인 등은 정부 정책을 규탄하는 현수막을 곳곳에 내걸고 반대 투쟁을 벌이고 있다.
울릉도의 한 어민은 “동해안 채낚기 어선들이 모두 광력을 상향시키면 효과가 없고 마구잡이로 어족자원이 급감해 장차 어민 소득이 크게 줄 수밖에 없다”며 “시급한 것은 북한, 중국어선의 싹쓸이 조업 중단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해수부 어획제도 개선 방안에 대해 동해안 경주 감포, 포항 구룡포, 영덕 축산 등지 채낚기 선주들은 광력 상향조정안을 반기는 분위기다. 이 지역 어민들은 “정부 정책에 따라 광력을 하향시켜 조업을 해봤지만, 중국어선 싹쓸이 조업으로 어획량이 반 토막 났다. 현재 취할 수 있는 것은 광력이라도 상향 조정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해수부의 대형저인망어선 동해안 조업 확장 반대에는 이견이 없지만, 채낚기 어선 광력 상향조정안은 지자체별, 어선 크기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어서 개정안을 둘러싸고 지역 어민들간에 첨예한 마찰이 예상된다.
울릉/김두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