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인구 50만 대도시 기준’ 완화 해야···"도시기능이 먼저다"

류승완 기자
등록일 2025-11-23 10:17 게재일 2025-11-24 3면
스크랩버튼
구미시, ‘지방시대 발전 전략 포럼’서 기준 완화 논의
대도시 기준 인구 50만 명, 30만 명으로 완화를
21일 열린 ‘구미시 지방시대발전 전략포럼’에서 인구 50만 대도시 기준 완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구미시 제공

구미시는 지난 21일 시청 대강당에서 ‘지방시대 발전 전략 포럼’을 열고 대도시 특례 확보를 위한 시민 공론화의 장을 마련했다.

 이번 포럼은 다음 달 22일 국회에서 열리는 ‘인구 50만 대도시 기준 완화를 위한 구미·원주·아산·진주 4개 도시 연합포럼’을 앞두고, 전략 방향을 점검하고 시민 인식을 공유하기 위해 개최됐다. 

특히 구미시가 대구경북의 거점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대도시 기준 인구 50만 명을 30만 명으로 완화하고, 동구미역 신설을 비롯해 구미역과 신공항선을 연결하는 동서철도선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하혜수 경북대 교수는 기조연설에서 “비수도권 대도시 쇠퇴가 가속화되는 현실에서 인구수만으로 도시 위상을 규정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라며 “일본 중핵시 사례처럼 인구 기준 완화와 면적 요건 폐지가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현욱 경기대 교수는 주제발제를 통해 구미시의 산업·생활권 특성을 기반으로 한 대도시 특례 지정 필요성과 시민 주도형 대응 전략을 제안했다.

지정토론에서 김봉교 구미시 지방시대위원장은 “구미는 반도체 특화단지, 방산 혁신클러스터, 3000개 이상 기업이 입지한 산업 거점 도시로 신공항 개항에 대응하려면 대도시 특례 확보가 선결과제”라고 밝혔다. 그는 신공항철도에 김천~구미역~동구미역으로 이어지는 동서철도망 연결을 제안하며 거점 도시로서의 기능 강화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 좌장을 맡은 김귀곤 국립금오공대교수는 동구미역 신설에 보태 구미에서 포항 신항만을 직결하는 철도노선 신설을 제안했다. 유수동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위원은 “수도권 집중 해소와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특례 논의가 필요하다”며 원주·아산 등과의 초광역 연대를 통한 협의 전략을 제안했다. 

윤필환 시도지사협의회 연구위원은“현 정부의 국정과제에 50만 대도시 특례는 포함돼 있지 않다”며 “현실적으로는 법 개정을 통한 전략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평가했다.

/류승완기자 ryusw@kbmaeil.com

중서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