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생산자·소비자 모두 이익··· 정부, 수산물 유통 ‘6→4단계’로 간소화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11-04 09:29 게재일 2025-11-05 6면
스크랩버튼
온라인 위판·AI 등급 판별·직매장 확대··· 가격 변동성 25% 완화 목표
Second alt text
4일 해양수산부가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사진은 한 어판장의 모습. /클립아트 코리아 제공

해양수산부가 수산물 유통비용을 낮추고 가격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개편에 나선다. 복잡한 유통 단계를 줄이고 온라인·디지털 기반 거래를 확대해 생산자와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새로운 유통 틀”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해양수산부는 4일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발표하고 △유통비용률 10% 절감 △주요 수산물 가격 변동성 25% 완화를 목표로 제시했다.

현재 수산물은 산지 위판장, 산지·소비지 중도매인, 소매상을 거치는 6단계 유통 구조로 비용이 높고 신선도 유지가 어렵다는 지적이 지속돼 왔다. 정부는 산지거점유통센터(FPC) 와 소비지분산물류센터(FDC) 를 확충해 유통을 4단계(생산자→FPC→FDC→소매→소비자) 로 단순화하고 물류 효율을 높일 계획이다.

노후 산지 위판장은 저온·친환경 시설로 현대화하고, 바닷가 인접성을 활용해 카페·식당 등을 결합한 복합 위판장 모델을 도입해 투자 수요도 끌어들인다.

온라인 기반 거래도 대폭 확대된다. 온라인 도매시장 거래 가능 품목을 현재 60개에서 134개로 2배 이상 확대하고, 판매자 가입 제한을 풀어 산지 중도매인도 판매·구매자로 동시 참여할 수 있게 한다. 인공지능(AI) 기반 수산물 등급 판별 기술과 수협공판장 여신시스템 연동(2028년까지 9개소)도 추진한다.

산지와 소비지를 직접 연결하는 모바일 전자위판(온라인 경매) 도 도입한다. 어업인이 귀항하는 선상에서 바로 위판할 수 있어 신선도 확보와 유통시간 단축 효과가 기대된다. 고등어·갈치 등 주요 대중어종은 유통 전 과정 영상·데이터 기록 시스템을 구축해 이력 추적도 강화한다.

소비자 접근성 개선을 위해 대도시권 수산물 직매장을 단계적으로 늘린다. 수도권 30개소(2025년)를 시작으로 충청권(2026년)과 타 지역으로 확대한다. 도매시장 내 직접 가공·분산·배송 기능도 도입해 시장 활성화도 유도한다.

가격 안정 장치도 마련한다. 정부는 고수온 등 양식 피해에 대비해 사후 복구 중심에서 사전 예방형 지원체계로 전환하고, 주요 품목에 대한 AI 기반 수급 예측모형을 개발해 시장 대응력을 높인다. 가락시장을 시작으로 2027년부터 전자송품장 표준화를 시범 적용해 위판 물량 조절 기능도 강화한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번 대책은 수산물 유통의 미래 구조를 바꾸는 첫 단계”라며 “합리적인 가격 형성과 신뢰 가능한 유통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경북 수산업계에서는 “울진, 영덕, 포항, 경주, 울릉의 경북동해안 5개 시군에는 노후화된 위판장도 적지 않다”며, “이번 조치로 수산물 생산자는 물론 소비자에게도 모두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관계 기관이 협력하였으면 한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