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허리 수술, 도대체 언제 결정해야 할까?

등록일 2025-11-03 14:28 게재일 2025-11-04 12면
스크랩버튼
방우석 척탑병원 신경외과 센터장
Second alt text
방우석 척탑병원 신경외과 센터장.

진료실에서 MRI 영상을 설명해주고 나면 환자들이 가장 많이 묻는 말이 있다. “이 정도면 수술해야 하나요?” 영상에서 병변이 심해 보일수록 수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척추 질환에서 수술 여부를 결정하는 핵심 기준은 영상 속 병의 크기가 아니라 환자가 실제로 겪는 증상과 삶의 무너짐 정도다. 척추 질환은 암과 다르다. 암은 증상이 없어도 발견되면 치료를 서둘러야 하지만, 척추 질환은 증상이 곧 질병의 언어다. 통증, 저림, 근력 저하, 일상의 제한 등 이 모든 것들이 몸이 보내는 신호다. 그래서 “수술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은 결국 “나는 지금 이 증상과 함께 살아갈 수 있는가?”라는 질문으로 귀결된다.

수술을 고민해야 하는 순간은 영상이 아니라 삶이 알려준다.

통증 때문에 좋아하던 운동을 멈추게 되고 걷고 앉는 것조차 버거워지고 ‘앞으로도 이렇게 살아야 하나?’라는 질문까지 생긴다면 그 순간부터 수술은 선택지가 아니라 현실적인 고민이 된다. 수술은 남들이 하라고 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삶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 출발한다.

수술을 권유받은 환자들이 흔들리는 이유

의사가 수술을 권유하는 시점이 오면 환자들은 또 다른 고민의 단계로 들어간다. 비슷한 증상을 겪어본 지인, 이미 수술을 받은 사람, 인터넷 커뮤니티, 유튜브 영상 등 환자들은 자연스럽게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찾아간다. 이는 너무나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살면서 중요한 결정을 앞두고 사람은 누구나 확신을 찾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문제가 하나 있다. 타인의 경험이 결국 내 몸을 대신 살아주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수술을 과하게 권유하는 병원이 있다더라”, “누구는 수술 없이도 좋아졌다더라” 등 이런 정보 공유는 때로는 도움이 되지만 수술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에도 치료를 미루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병원을 여러 곳 돌며 “혹시 수술 말고 다른 방법 없나요?”를 반복하는 사이 신경은 더 손상되고 치료 시기를 놓쳐 상태가 악화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다른 사람의 조언은 참고가 될 수 있지만 결정은 결국 ‘지금의 내 몸 상태와 앞으로의 삶의 질’을 기준으로 내려야 한다.

허리 수술을 고려해야 하는 대표적 상황

척추 분야의 기본 원칙은, 허리 통증만 있을 때는 대부분의 경우 허리 수술을 시행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리로 퍼지는 신경 증상이 동반될 때 비로소 허리 수술 가능성을 고려하게 된다. 척추 의료진이 수술을 환자에게 권유할 때 기준으로 삼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6주 이상의 대증치료(약물, 주사, 물리치료 등)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 △마미총증후군(대소변 장애 등)이 나타나 즉각적 수술이 필요한 경우 △다리 근력의 급격한 저하가 관찰되어 신속한 수술이 필요한 경우 등이다.

수술은 끝이 아니라 다시 살아가기 위한 선택이다

수술은 포기가 아니라, 멈춰 있던 삶을 다시 앞으로 움직이게 하는 선택이다. 의사는 수술을 권하는 사람이 아니라, 환자가 다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옆에서 안내하는 동행자여야 한다. 허리 수술은 영상이 아니라 삶의 무게가 결정하게 된다. 수술은 실패의 증거가 아니라 회복의 출발점이며, 선택의 기준은 남이 아니라 ‘내 삶이 얼마나 멈춰 있는가’에 달려 있다. 당신의 몸은 타인의 경험으로 판단할 수 없고, 당신의 삶은 오직 당신의 결정으로 다시 움직일 수 있다.

/방우석 척탑병원 신경외과 센터장

라이프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