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진짜 역사’를 볼 수 있는 붉은 건물
점토 벽돌이라고도 불리는 적벽돌이 한국에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 전후다. 초창기 선교사들은 한옥을 대신해 적벽돌로 된 서양식 교회나 성당을 짓기 시작했는데 대표적인 건축물이 지난 1892년 세워진 명동성당이다. 그 이후 적벽돌은 일반에 전해져 고급 건축 재료로 사용됐고 오늘날 브릭로드를 잇는 근대 건축물들이 그렇게 하나둘 대구 골목길에 들어서기 시작했다. 대구의 진짜 역사를 보고 싶다면 브릭로드를 걸어보라.
평양 벽돌과 금강산 나무로 지었다고 전해지는 ‘화교협회 건물’
역사적인 ‘선교사 주택’·국내 세번째 서양식 성당 ‘계산성당’ 등
일제강점기·개항기 건축물이 남긴 근대문화의 흔적 고스란히
도심 곳곳 붉은 벽돌 건축물에서 살아있는 역사 체험 해보길…
△역사적 건축물 선교사 주택과 화교협회
브릭 로드의 출발점인 화교협회는 1929년 붉은 벽돌로 지은 2층 서양식 주택으로, 국가등록문화재 제252호다. 대구 지역 부호였던 서병국이 당시 대구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던 중국 건축가 모문금에게 설계와 시공을 맡겨 건립했다. 벽돌은 평양에서 구워 오고 나무는 금강산에서 가져온 것이라는 설이 있다. 화교협회 바로 앞 건물은 화교소학교인데, 마치 차이나타운에 온 듯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화교협회는 장방형의 평면구조로 중복도를 둔 좌우대칭의 건물이다. 대부호의 주택이라서인지 당시 벽돌은 평양에서 구워 오고, 나무는 금강산에서 가져온 것이라는 설이 있다. 한때 방첩대(HID) 건물이었고, 지금은 대구화교협회 사무실로 쓰인다.
브릭 로드에서 만날 수 있는 인상적인 건물은 계명대 동산의료원 경내에 있는 미국인 선교사 주택 세 채다. 1910년께 선교사들이 설계한 이 주택들은 대구 지역에 처음으로 서양식 주거 양식과 생활상을 소개했던 몇 안 남은 근대건축 유산이다.
이 가운데 스윗즈 주택은 마르타 스윗즈 여사를 비롯해 계성학교 5대 교장인 헨더슨, 계명대학장을 지낸 켐벨 등의 선교사들이 살았던 집이다. 서양식 주택에 한국식 서까래와 한식기와를 이은 박공지붕이 인상적이다. 건물의 전체적인 형태와 내부 구조가 지을 당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어 대구의 초기 서양식 건물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스윗즈 주택 북쪽 정원에는 대구 최초의 서양 사과나무 자손목이 자라고 있다. 1899년 동산병원 초대 원장 존슨 선교사가 미국에서 3개 품종의 사과나무 72그루를 들여와 사택 뜰에 심어 키웠으며, 이 중 미주리 품종만 자라 동산의료원 주변으로 보급한 것이 ‘대구 사과나무’의 효시로 알려졌다.
챔니스 주택 건물 양식은 당시 미국의 캘리포니아주 남부에서 유행한 방갈로풍으로 꾸며져 있다. 대구의 개신교 선교사와 당시의 건축 상황을 한눈에 파악하게 하는 중요한 건물이다. 지금은 1900년대 전후의 동서양 의료기기 등이 소장된 의료박물관으로 꾸며져 근대의학의 발전과정을 엿볼 수 있다.
선교사 주택 중 가장 남쪽에 있는 블레어 주택은 붉은 벽돌로 된 굴뚝이 있고 건물 내부엔 나무로 된 마룻바닥이 있다. 1900년대 미국의 방갈로풍에 가까운 주거 건물로 현재는 조선시대의 서당과 1960~1970년대의 초등학교 교실 등을 재현해 놓은 교육·역사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국내에서 세번째로 세워진 서양식 성당 계산성당
브릭 로드의 또 다른 축은 계산성당을 비롯한 천주교 유적지다. 계산성당은 서울 명동성당과 평양 관후리성당에 이어 국내에서 세 번째로 세워진 서양식 성당이다. 고딕 양식의 외관과 스테인드글라스를 통해 들어오는 알록달록한 빛이 매혹적이면서도 성스럽게 느껴진다.
1899년 로베르 신부에 의해 한옥으로 처음 지어졌지만 1901년 화재로 전소되자 이듬해 프랑스 프와넬 신부에 의해 다시 설계돼 지금의 건물이 됐다. 당시 명동성당을 지은 중국인 건축기술자 강의관 등이 이곳에서 다시 붉은 벽돌을 쌓아올렸다. 1911년 대구교구가 설정돼 주교좌성당이 되면서 종탑을 2배로 높이는 등 증축을 시작, 1918년 12월 현재의 모습으로 완공됐다.
계산성당은 위에서 내려다보면 십자가 모양이고, 고딕양식의 우뚝 솟은 쌍탑이 특징이다. 100여년의 역사를 인정받아 사적 290호로 지정됐다. 성당 내부에 한복 입은 사람들이 스테인드글라스에 새겨져 있는데, 조선시대 천주교 박해 때 순교한 우리나라 성인들이다. 빨간 머플러를 한 성인은 최초 순교자인 김대건 신부다. 계산성당에서는 박정희 전 대통령 등 유명인사들이 결혼식을 올렸고, 1984년 5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방문했다.
대구본당 초대 주임 로베르 신부는 1899년 지은 십자형 기와집 성당이 화재로 소실되자 1903년 11월 두 개의 종탑을 갖춘 고딕 양식 벽돌 건물로 다시 지었다. 명동성당처럼 고딕 양식이 가미된 로마네스크 양식인데 명동성당 설계자와 인부들이 세웠기 때문이라고 한다. 1984년 5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이런 역사성 때문이다.
대구 지역 3·1만세운동의 산실이었던 계성중학교계산성당에서 멀지 않은 곳에 성유스티노 신학교가 있다. 1914년 10월 1일 개교한 대구대교구 최초의 신학교로, 현 대구가톨릭대의 출발점이 된 건물이다.
드망즈 주교가 신학교 설립을 위해 세계 각지에 원조를 구했을 때 중국 상하이에 사는 익명의 신자가 유스티노 성인을 주보성인으로 모시는 조건으로 거액을 희사해 성인의 이름을 따서 ‘성유스티노 신학교’가 되었다. 1945년 일제 탄압으로 폐교되기까지 67명의 사제를 배출했다. 1991년부터는 대구관구 대신학원이 이곳으로 옮겨와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신학교는 금녀의 공간이다. 성유스티노 신학교는 지금까지 100년 넘는 역사 중에서 유일하게 단 한 명에게만 출입을 허용했는데 그 주인공이 배우 하지원이다. 2004년 영화 ‘신부수업’ 촬영차 기숙사를 찾았다고 한다. 이후 영화 ‘박쥐’, 드라마 ‘각시탈’의 배경이 되면서 일반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신학교 주변은 천주교 대구대교구청과 성모당, 샬트르성바오로 수녀원이 한자리에 모여 있는 100년 전통의 ‘가톨릭 타운’으로 조성돼 있다. 천주교 신자들에게는 순례지이자 기도처로, 비신자에게는 영화 촬영지이자 단풍 명소로 각인돼 있다.
△ 프랑스 루르드 동굴 본떠 만든 성모당 이채
프랑스 루르드 동굴을 본떠서 세운 성모당신학교 내에는 성모당이 있다. 성모당은 사경을 헤매는 병자도 낫게 한다는 ‘기적의 샘물’로 유명한 프랑스 루르드 동굴을 본떠서 세운 곳으로, 전국적으로 유명한 천주교 성지다. 단순 모방이 아니라 루르드 성모굴의 크기와 바위의 세부적인 면까지 거의 흡사하게 지었다고 한다.
대구 천주교회 초대교구장이었던 드망즈 주교가 건축했으며, 1917년 7월 착공해 1918년 8월 15일 완공했다. 성모당은 교구청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자리 잡고 있으며, 앞쪽에 넓은 마당이 있고 북향으로 세운 붉은 벽돌 구조의 건축물이다. 성모당 외관은 화강암 기초 위에 흑색 벽돌로 각 모서리의 버팀벽과 수평띠를 이루고 있다. 나머지 벽면은 붉은 벽돌로 쌓았는데 각 부의 비례 구성이 아름답고 벽돌 짜임이 정교하다.
브릭로드에서 빠져 있지만 관덕정 순교기념관 역시 빼놓을 수 없는 대구의 근대 건축물이다. 관덕정(觀德亭)은 조선 시대 무과를 치르던 관청이자 처형장으로도 쓰인 곳이다. 이곳에서 성인 이윤일 등 천주교인들 뿐만 아니라 동학농민운동을 주도한 동학(천도교) 창시자 최제우가 처형되기도 했다. 최제우 순도비는 길 건너 현대백화점 앞에 서 있다.
관덕정 인근 불교 사찰 보현사도 역사적으로 중요한 장소다. 동화사의 포교당으로 세워진 보현사는 1919년 3월 30일 덕상정(남문 밖) 시장 만세 운동이 일어나기 전 서울에서 유학하던 대학생들이 내려와 학승들과 만세 운동을 결의했던 곳이다
/최병일기자 skycbi@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