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트램방식 반대, 모노레일이 정답”⋯대구 도시철도 4호선 건설방식 두고 이틀째 대립

김재욱 기자 · 황인무 기자
등록일 2025-10-31 15:58 게재일 2025-11-01
스크랩버튼
대구교통공사 "기존 3호선 모노레일, 현행 안전 기준 충족 못 해"
"트램은 반대"⋯주민설명회 한때 중단, 15분 후 재게
31일 오전 대구 동구청 민방위교육장에서 열린 대구 도시철도 4호선 주민설명회에서 동구 주민들이 피켓을 들고 반발하고 있다. /황인무기자

대구시와 대구교통공사가 추진 중인 대구 도시철도 4호선 건설방식을 두고 동구 지역 주민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논점은 건설방식을 AGT(자동운전 중형철도)를 채택해서다. 지난 30일부터 이틀째 대구시와 대구교통공사는 이와 관련한 주민설명회를 진행하고 있지만, 갈등은 깊어지는 모양새다.

특히, 31일 오전 대구 동구청 민방위교육장에서 열린 설명회에서 주민들은 ‘동구민이 원한다! 모노레일 추진하라’, ‘트램은 그만! 미래는 모노레일!’, ‘트램은 반대! 모노레일 답이다!’, ‘트램방식 자영업자 다 죽는다’ 등의 내용이 적힌 피켓을 들고 항의해 설명회가 시작 5분 만에 중단되는 사태도 발생했다.

현장에서 이원우 신암1동 주민자치위원장은 “신암동은 도로 폭이 좁고 주택들이 밀집해 있어 AGT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하게 되면 무조건 피해가 생길 수밖에 없다”면서 “이번 설명회는 요식행위에 불과한 만큼 AGT 방식을 폐기하고 3호선 처럼 모노레일로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AGT 방식은 소음 및 분진 문제로 주민 생활에 심각한 피해를 줄 것”이라며 “이미 부산 경전철 사례에서 확인된 문제를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구교통공사 관계자는 “도시철도 1회 운행 시 레일마모로 인한 쇳가루 발생량은 0.235g/㎞로 승용차 5.6대 수준의 발생량에 불과하다”며 “또한 AGT 방식은 유지관리비가 모노레일보다 약 1000억 원 절감된다”고 답변했다.

소음·분진 대책 등에 대한 공방도 이어졌다. 

주형숙 동구의원은 “주민들은 ‘끼익’ 소음 때문에 잠을 못 잔다”며 “동구는 육교와 고가차도 철거로 교통 여건이 더 열악해졌는데 왜 우리만 피해를 봐야 하느냐. 상권이 무너질 수 있는 상황에 대구시가 주민 생존권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구교통공사 관계자는 “환경영향평가 절차를 준수하며 사업을 추진 중”이라며 “주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추가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31일 오전 대구 동구청 민방위교육장에서 열린 대구 도시철도 4호선 주민설명회에서 동구 주민들이 피켓을 들고 반발하고 있다. /황인무기자

지난날 대구 수성구에서 열린 주민설명회와 같은 질문에 대한 원론적인 답변도 오갔다.

신천동 주민 권기일 씨(전 대구시의원)는 “AGT보다 오랜 시간 검증을 거친 모노레일을 낫다. 법 개정이 필요하다면 시간이 지연되더라도 제대로 풀어가야 한다”며 “한번 잘못 건설해 놓으면 철거도 못 하고 정말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대구교통공사 관계자는 “예비 타당성 조사 과정에서는 모노레일로 처음에 추진했다”면서 “하지만 2015년 철도안전법 개정으로 차량 형식 승인 제도가 도입되며, 기존 3호선 모노레일 차량은 현행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또 히타치사가 형식 승인 면제·안전 기준 미준수·하청업체 참여 등 조건을 제시해 협의가 결렬됐으며, 국토교통부도 안전 문제를 이유로 법령 개정을 거부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구 도시철도 4호선은 수성구 범어동에서 동구 봉무동을 잇는 총연장 12.56㎞ 구간으로 12개 정거장이 설치된다. 총사업비 8821억 원이 투입되며 2030년 개통을 목표로 한다. 

/김재욱·황인무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