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EC의 핵심 가치인 ‘사람 중심의 성장’을 실현하는 공간
 
 
   2025년 가을, 경주의 숲속에서 세계가 만났다.
APEC 정상회의를 맞아 경주 보문단지 일대에서는 단순한 외교 무대를 넘어선, 사람 중심의 문화 교류의 장이 펼쳐졌다. 물들기 시작한 단풍 사이로 각국 대표단과 시민들이 모여들었고, 그 속에서 한국의 문화와 정서가 조용히, 그러나 강렬하게 스며들었다.
행사장 초입, 푸른 천막 아래 자리한 ‘Information&Events’ 부스는 이곳의 관문이었다. 자원봉사자들은 유창한 외국어로 방문객을 맞이하며 행사 안내를 제공했다. 그 옆에는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부스가 자리해, 한국의 고등교육과 국제 협력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이곳을 직접 운영하며 생생한 경험담을 방문객들과 나눴다.
‘Reading Zone’ 부스에서는 책과 문화 콘텐츠가 중심이 되었다. 한국의 현대문학, 그림책, 지역 출판물들이 진열돼 있었고, 방문객들은 자유롭게 책을 펼쳐 들며 한국의 정서를 느꼈다.
나무 그늘 아래 앉아 책을 읽는 외국인 참가자의 모습은 마치 작은 도서관을 연상케 했다. 말레이시아 대표단 통역 자원봉사자 아리프 씨는 “책을 통해 한국의 감성을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 단순한 관광이 아니라 진짜 문화를 만나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행사장 반대편 잔디 광장에는 푸드트럭들이 줄지어 서 있었다. 붉은 벽돌 건물을 배경으로 펼쳐진 이 공간은 마치 한 편의 영화 세트장 같았다. 떡볶이, 컵밥, 인삼차, 김스낵 등 한국의 대표 음식들이 외신 기자들과 대표단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푸드트럭 앞에는 정장을 입은 외국인 참가자들이 줄을 서서 음식을 주문하고, 캠핑 테이블에 앉아 담소를 나누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특히 할랄 인증을 받은 메뉴와 지역 특산품인 문자사과, 경주빵은 큰 인기를 끌었다. 일부 참가자들은 음식 사진을 찍어 SNS에 올리며 “K-푸드 체험 중!”이라는 해시태그를 달기도 했다.
APEC 미디어센터 소속 한 기자는 “음식과 분위기 덕분에 한국이 더 가까워졌다”며 “비즈니스 회의만으로는 느낄 수 없는 따뜻함이 있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번 부대행사는 대만민국과 경북의 홍보나 전시를 넘어, APEC의 핵심 가치인 ‘사람 중심의 성장’을 실현하는 공간이었다. 디지털, AI, 탄소중립 같은 산업 의제 외에도, 교육·문화·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의 소프트파워를 세계에 알리는 장이 된 것이다.
행사 관계자는 “정상회의가 끝나면 기억에 남는 건 회의록이 아니라 사람과의 교류입니다. 이 부대행사는 그 교류의 장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라고 강조했다.
경주의 자연과 어우러진 이 행사장은, 세계가 함께 웃고 배우며 교류하는 진정한 글로벌 커뮤니티의 모습을 보여줬다. 단풍 아래에서 책을 읽고, 떡볶이를 나누며,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는 이 공간은 APEC의 미래를 향한 따뜻한 발걸음이었다.
/피현진·박형남기자 phj@kbmae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