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기간 소음·분진 대책 등 요구 公 “상판폭 줄이고 구조물 슬림화” 시는 모노레일 ‘추진 불가’ 못박아
대구 도시철도 4호선 건설과 관련해 30일 열린 주민 설명회에서 AGT(자동운전 중형철도) 방식 채택과 소음·분진 대책 등을 둘러싼 논란이 지속됐다.
주민들은 모노레일 방식 변경 가능성과 공사 기간 환경 영향 최소화를 촉구했으며, 대구교통공사는 현행 법령상 모노레일 도입이 어렵다는 처지를 보였다.
이날 주민 이덕화 씨는 “대구 시민들은 소음·분진 문제를 가장 우려한다”며 “모노레일 방식 변경 가능성과 예산 문제를 설명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구교통공사 관계자는 “2015년 철도안전법 개정으로 차량 형식 승인 제도가 도입되며, 기존 3호선 모노레일 차량은 현행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면서 “또 히타치사가 형식 승인 면제·안전 기준 미준수·하청업체 참여 등 조건을 제시해 협의가 결렬됐다”고 했다. 이어 국토교통부도 안전 문제를 이유로 법령 개정을 거부했다고 덧붙였다.
범어3동 주민 김수현 씨는 “히말라야 시다 나무 보존 방안과 공사 기간 소음·분진 대책이 부족하다”고 지적하자 공사 측은 “교각 간격을 40m로 조정해 수목 훼손을 최소화했으며, 녹지과와 협의해 관리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와 함께 환경영향평가 업체 관계자는 “공사 시 52개 지점에서 소음 기준 초과가 예상되나, 저감 방안 적용 후 기준을 충족할 것”이라며 “운영 단계에서는 3D 모델링으로 소음을 예측해 방음벽 설치 등 대책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일부 주민은 4호선 정류장에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이착륙장을 연계하자고 제안했으며, 허준석 대구시 교통국장은 “현재 UAM 설계 기준이 없어 추후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구교통공사 측은 “주민 의견을 수렴해 공사 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겠다”며 “추가 설명회를 통해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주민설명회에 앞서 대구시는 도시철도 4호선(엑스코선) 건설 사업과 관련해 애초 거론된 모노레일 방식은 제조사와의 협상 결렬로 추진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AGT 방식으로 추진하는 데 따른 경관 훼손 대책으로는 상판 폭을 줄이고 경관 개선 사업을 병행한다고 밝혔다.
특히, AGT 도입에 따른 도시 미관 저하 우려에 대해서 대구시는 “4호선 설계 과정에서 상부 구조물 슬림화, 경관 개선 사업 병행 시행 등을 통해 주어진 조건 내에서 개방감을 확장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김재욱·황인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