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을 찾는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지만 방문 횟수는 줄고, 대신 숙박형 체류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촌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는 이른바 ‘농촌 관계인구’도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농촌진흥청은 전국 15세 이상 국민 5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 농촌관광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농촌 관광을 경험한 국민은 전체 43.8%로, 2022년(35.2%) 대비 8.6%포인트 증가했다.
관광객들이 농촌을 찾은 주요 이유는 ‘일상탈출·휴식·치유’(54.0%)가 가장 많았다. 농촌을 찾는 성격이 단순 체험 중심에서 휴식과 머무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당일 방문 줄고 숙박형 여행 증가
농촌관광 평균 방문 횟수는 연 1.9회로 2022년(2.4회)보다 감소했다. 세부적으로는 당일 방문(1.3회) 감소 대신 숙박 방문(0.7회) 증가가 확인됐다. 숙박시설 종류별로는 농촌 민박 34.2%, 펜션 32.5%, 야영(캠핑) 22.4% 순이었다. 숙박 선택 기준으로는 주변 경관(26.6%), 이용 편의성(24.3%)이 높게 나타났다.
△가장 많이 한 활동은 ‘맛집 이용’
농촌에서 한 활동(복수응답)은 농촌 맛집 방문 47.4%, 농촌체험활동 30.3%, 농·특산물 직거래 28.9% 순으로 조사됐다.
지역 고유 먹거리와 음식 콘텐츠가 관광 매력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동 수단은 자가용 이용이 90.9%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동행자는 가족·친지(63.7%)가 가장 많았다.
△관계인구 늘고 워케이션 수요도 잠재
농촌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유지하는 ‘농촌 관계인구’ 비율은 32.3%로, 전 조사 대비 3.6%포인트 증가했다.
농촌 워케이션(휴가+원격근무)의 경우 인지율 29.6%, 향후 이용 의향 17.5%로 나타나 잠재 수요가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만족도는 ‘숙박 청결·친절’ 높고, 안내·안전은 미흡
관광객 만족도가 높았던 항목은 숙박시설 청결도(80.3점), 운영자·직원 친절도(76.1점)이었다.
반면 관광 안내자료 제공(71.0점), 안전시설 및 장비 구비(70.3점), 마을·체험 해설 안내(68.6점)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윤순덕 농촌진흥청 농촌환경안전과장은 “농촌 관광 수요가 휴식형·체류형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지역과의 지속적 방문과 교류가 이어질 수 있도록 정책과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