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시 청년정책, 사후 처방 아닌 ‘예방적 정책’ 필요”

이시라 기자
등록일 2025-09-28 16:35 게재일 2025-09-29
스크랩버튼
임대환 청년재단 중앙청년지원센터장, 청년정책포럼서 주장 
“청년정책의 핵심, 미래 대비하도록 준비 돕는 것”
청년 월세 지원 등은 한시적 정책 지적 
청년정책 전문성·연속성을 위해 청년 담당관 도입 제안
Second alt text
포항시가 지난 27일 포항 꿈트리센터 3층 다목적강당에서 청년의 날을 기념해 마련한 ‘청년정책 포럼’에서 임대환 재단법인 청년재단 중앙청년지원센터장(오른쪽 두 번째)이 예방적 청년 정책을 강조하고 있다. /포항시 제공

임대환 재단법인 청년재단 중앙청년지원센터장은 “청년정책은 사후 처방이 아니라 선제적으로 예방해야 하는 정책”이라면서 “미래에 대비할 수 있도록 단계별 준비를 돕는 게 청년정책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27일 포항시가 청년의 날을 맞아 마련한 ‘청년정책포럼’에서다. 

포럼에서 임대환 센터장은 포항시의 예방적 청년정책 중 첫 번째 단계인 ‘학습기 단계’(초기 청년)는 비진학 청년을 위한 정책은 사각지대에 있다고 지적했다. 

고등교육 이수율이 89% 이상을 웃돌면서도 그에 포함되지 못한 11% 청년들이 목소리를 낼 곳이 없는 점과 포항의 학교 밖 청년들을 위한 기술 훈련 교육이나 삶을 이행할 기회 제공이 전반적으로 부족하다는 점을 근거로 내세워서다. 

청년들이 구인·구직 활동하는 ‘중기 청년 시기’에 대해서는 제조업과 이차전지 산업의 메카인 포항이 정작 인문 수양을 할 수 있는 활동 프로그램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청년이 사회에 첫 발을 내디딘 이후 좌절을 겪고 고립·단절되는 경우에 대비해 마음 건강을 돌보기 위한 프로그램이 없어 아쉽다”고 했다.

특히, 임 센터장은 “포항시가 청년들에게 월세와 전세 보증금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지원하고 있지만, 모두 한시적인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후기 청년 시기’인 30대 후반 청년들이 임차보다 내 집을 마련을 더 원하는 사정을 고려하면, 청년들이 지분을 적립할 수 있는 공공 유형의 주택제공이나 공공 보육, 시간제 돌봄 등을 좀 더 촘촘하게 만들 것을 주문했다. 

청년정책의 전문성과 연속성을 위해 포항시에 청년 담당관을 도입하자고 임 센터장은 “순환보직 근무에서 벗어나는 방식으로 청년 담당관을 배정하고, 청년 담당관이 부서별 거버넌스를 통해 청년이 요구하는 일자리와 주거·복지·문화 정책과 관련한 역할을 하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시라기자 sira115@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