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말없는 역사서 창녕의 제63호 비화고분

등록일 2025-09-21 16:04 게재일 2025-09-22 12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비화고분 유물이 전시되고 있는 창녕박물관.

비화(非火)는 고대 가야지역으로 현재 경남 창녕이다. 낙동강 동쪽, 신라와 경계를 이루던 곳으로 5세기 이후에는 신라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6세기 중엽쯤 신라에 병합된 것으로 보인다. 555년, 신라가 하주(下州)를 설치하면서 창녕의 옛 이름인 ‘비화’라는 이름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는 설이 있다.

창녕박물관 인근, 사적 제514호로 지정된 교동·송현동 고분군. 그곳은 땅이 역사를 말하는 자리다. 그 가운데 도굴되지 않은 제63호 고분은 특별한 주목을 받았다. 몇 해 전, 크레인을 동원해 무거운 덮개돌을 조심스레 들어 올릴 때, 침묵 속에서 시간을 깨우는 손길이 시작되었다.

석곽 내부에는 질서 있게 놓인 유물들이 모습을 드러냈다. 금동관, 은반지, 허리띠, 그리고 붉은 칠의 흔적까지. 모든 것이 정제된 듯, 누군가의 마지막을 정성껏 준비했던 흔적이 선연했다. 고분의 구조는 피장자의 신분과 문화를 말없이 드러냈다. 머리를 남쪽으로 향한 채 안치된 시신. 그 곁에는 부장품 공간과 순장을 위한 공간이 함께 나뉘어 있었다.

놀라운 것은 사람만 아니라 개의 순장 흔적이 함께 발견된 점이다. 고대의 사후 세계관을 엿볼 수 있는 단서였다. 그것은 공주의 무령왕릉에서도 보이는 동물 순장과 닿아 있다. 삼국시대 말기에 이르러서는 토우가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지만, 한때는 죽은 자를 지키는 존재로서 동물이 함께 묻히는 관습이 있었다. 묵묵히 지켜주던 존재, 생을 함께한 그들을 저세상에도 데려가고 싶었던 것일지도 모르는 일이다.

Second alt text
창녕박물관 인근에 있는 교동·송현동 고분군.

제63호 고분은 비화 지역 최고 지배층의 무덤으로 추정한다. 그런데 무덤 안에서는 남성의 상징인 큰 칼이 발견되지 않았다. 오히려 장신구의 구성과 유골 분석 결과, 키 1m 55cm가량의 여성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남성 중심으로만 보아왔던 지배 구조에 대한 통념을 되돌아보게 하는 지점이었다. 무엇보다 그 고분은 유물이 거의 완전한 상태로 출토된 비화 지역 최초의 사례였기에, 학계의 이목이 쏠릴 수밖에 없었다. 단순히 오래된 물건을 발견한 것이 아니다. 고대인의 삶과 죽음, 그 안에 담긴 가치관과 신념이 생생하게 되살아난 것이다.

일제강점기, 수많은 가야 유물이 도굴로 사라졌다. 그 상처 속에서 제63호 고분의 발굴은 더욱 소중하게 다가온다. 창녕박물관에는 금귀걸이, 금동뿔잔, 청동함 등 문화의 꽃을 피웠던 비화의 유물이 많다. 신라 토기에는 한자가 새겨진 것이 많으므로 신라와 교류했던 흔적들이 전시되어 있다. 정(井), 생(生), 대간(大干)이라는 한자가 새겨진 토기가 눈길을 끈다.

가야는 서기 42년에 건국된 깊은 시간을 품은 나라다. 그러나 그 역사가 묻혀 있다. 바른 가야사의 복원을 원한다면, 초기부터 후기까지 전 시기를 아우르는 발굴과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고분은 말 없는 역사서다. 하지만 귀를 기울이면, 침묵 속에서도 오래된 이야기들이 들려온다. 그것은 흙과 돌이 들려주는 진실이며, 우리가 반드시 되살려야 할 기억이다. 

/김성문 시민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