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배롱나무’

등록일 2025-09-21 16:03 게재일 2025-09-22 12면
스크랩버튼
방종현 시민기자의 유머산책 
Second alt text
방종현 시민기자

요즘 세상에 무려 100일 동안이나 붉은 꽃을 피우고 있는 나무가 있다. 이름하여 배롱나무, 혹은 목백일홍(木百日紅)이라고도 불린다.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이라는 옛말이 있지만, 이 나무는 그 격언에다 “시끄럽다, 나는 예외다!” 하고 당당히 딴지를 거는 꽃이다.

이 배롱나무는 겉보기부터가 범상치 않다. 줄기가 매끈매끈하다 못해 반질반질하다. 그 덕에 ‘간지럼 나무’라는 별명이 생겼다. 누가 나무를 간질이면 잔가지가 파르르 떤단다. 사람만 간지럼 타는 줄 알았지, 나무까지 간지럼을 탄다니. 세상 참 넓고 신기한 일이다.

또 하나의 별명은 ‘원숭이 미끄럼 나무’다. 이쯤 되면 나무도 정체성 혼란에 빠질 지경이다. 꽃 피운다고 불리더니, 간질인다고 해서 또 다르게 불리고, 이젠 원숭이까지 등장하니 말이다.

배롱나무는 그 생김새도 이쁘지만, 이름부터 남다르다. 보통 나무들은 이름에 풀떼기(草) 하나 붙고 마는데, 얘는 풀 백일홍과 구분하기 위해 ‘목(木)’ 백일홍이라는 관직까지 달고 다닌다. 마치 “나는 일 년 초가 아니다 나무 백일홍이다!” 하고 선언하는 듯. 얼마나 자부심이 강한지 이름부터 꼿꼿하다.

게다가 이 나무엔 눈물 없이는 들을 수 없는 전설도 하나 딸려 있다. 옛날 어느 어촌 마을에 머리가 셋 달린 이무기가 살았다. 이무기가 해마다 예쁜 처녀 하나씩 잡아가자, 동네 사람들 속이 타들어 갔다. 그러던 어느 날 이무기가 점찍은 처녀를 짝사랑하던 청년이 “내가 대신 가겠소!” 하고 나섰다.

청년은 처녀 옷을 입고 제단에 앉아 이무기를 기다리다, 이무기와 격투에서 목을 두 개 베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이무기도 호락호락한 상대는 아니었다. 남은 한 개 목으로 눈물 콧물 쏙 빼며 도망쳤단다. 처녀는 청년에게 청혼했지만, 청년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이무기 마지막 목까지 베고 오겠소!” 하고 바다로 떠났다.

그가 떠나면서 “이무기를 처치하면 배에 흰 깃발을, 실패하면 붉은 깃발을 걸겠소.”

그러고는 자신 만만하게 떠났는데, 100일 후 청년의 배가 돌아왔다. 멀리서 붉은 깃발이 펄럭이고 있었다. 처녀는 그만 가슴이 무너져내려 그 자리에서 자결했다. 그런데 이게 무슨 일이란 말인가 청년은 이무기를 처치하고 돌아오는 길에, 이무기의 피가 배에 튀어 깃발이 붉게 물들었을 뿐이었다. 해피엔딩 될 수도 있었던 사랑 이야기가 깃발 물감 잘못 선택한 바람에 비극으로 끝난 셈이다.

청년은 통곡하며 처녀의 무덤에 꽃을 심었고, 그 자리에 피어난 꽃이 바로 배롱나무란다. 그러고 보니 100일 동안 붉은 꽃을 피우는 것도, 어쩌면 사랑의 기간제 계약서였는지도 모르겠다. 처녀가 매일매일 기다리던 그 100일의 시간. 그 사랑과 기다림이 나무가 되어 피어난 것이 배롱나무란다.

지금도 산사나 서원에 가면 이 배롱나무를 많이 볼 수 있다. 스님들이 수양할 때, 선비들이 학문에 정진할 때, 배롱나무는 조용히 곁에 선다. 100일 동안 피고 지고를 반복하는 그 모습에 뜻이 담겨 있다. “수양도 백일은 해야 정신 좀 든다”는 자연의 충고인지도 모르겠다.

배롱나무는 충절과 지조의 상징으로, 선비 무덤 옆에 곧잘 심긴다.

요즘같이 싹 피었다가 싹 시들어버리는 SNS 사랑, 반짝 떴다 사라지는 유행 속에서 배롱나무는 말한다.

"나는 아직도 백일을 기다린다.”

그 말 한마디가 왠지 묵직하다. 꽃보다 사람이 더 빨리 변하는 세상에서, 이 나무 하나만큼은 100일을 묵묵히 지켜내고 있으니 말이다.

/방종현 시민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