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지난 16일 발표한 2025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에서 학교에서 “학교폭력을 경험했다”고 대답한 학생의 비율이 2.5%로 나타났다. 전년보다 0.4% 포인트가 높아졌고, 교육부가 관련 조사를 시작한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한다.
학교폭력에 대한 범사회적 관심과 예방 노력에도 학교폭력은 줄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학교폭력의 유형도 과거 신체적 폭력이나 금품 갈취 등의 유형에서 언어폭력, 집단 따돌림, 사이버 폭력 등 정서·관계적 폭력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는 학생들 간의 관계가 단절되고 학생의 심리적 상처를 남긴다는 점에 우려를 키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학교폭력의 원인에 대해 대체로 3가지 이유를 들고 있다. 첫째 개인적 요인이다. 분노 조절의 문제나 공격적 성향 등 개인의 기질에 의한 문제다. 둘째는 가정환경으로, 부모의 무관심, 학대. 애정 결핍 등이 학교폭력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학교환경이다. 경쟁 중심의 교육, 집단 내 소외감, 교사의 방관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 밖에도 학교폭력이 발생하는 이유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다.
교육은 학문과 지식의 습득 외도 인성을 바르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가적으로는 국가와 인류 공영에 이바지하는 인재를 키우는 과정이다.
자녀를 학교에 보내는 부모의 입장에서 학폭이 늘고 있다는데 걱정하지 않을 사람은 없다. 그럼에도 학폭 예방은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올해부터 대학입시에 학폭 전력을 의무 반영토록 했으나 되레 부작용으로 시끄러운 경우가 많다고 한다. 단순한 다툼에도 변호사를 내세우고 다투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가정과 사회, 학교의 더 많은 관심과 애정이 필요한 때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