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나의 소소한 여행

등록일 2025-09-17 15:35 게재일 2025-09-18 17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정미영 수필가

“사람은 자기 삶의 일부로 살아가지 않은 것들에 대해 책임이 있다.” 파스칼 메르시어의 ‘리스본행 야간열차’에서 이 문장을 읽었을 때였다. 나는 마음 한편이 저릿했다. 살아오면서 미루어 두었던 계획, 말로 꺼내기에는 조심스러워 지나쳐 버렸던 감정, 가지 못했던 여행이 생각났다. 어느새 그 모든 것이 가슴 밑바닥에 침잠되어 나의 침묵으로 머물러 있었다.

“우리가 우리 안에 있는 것들 가운데 아주 작은 부분만을 경험할 수 있다면, 나머지는 어떻게 될까?”라는 문장도 계속 입안에서 맴돌았다. 그러면서 앞만 보고 살아온 세월이 머릿속을 흘러갔다. 갑자기 내 안에 억눌려 있거나 표현되지 못한 수많은 가능성에 도전해 보고 싶었다. 그 중 하나가 주인공 그레고리우스처럼 무작정 떠나는 것이었다.

그래서였을까. 오십을 넘긴 나이에 40년 지기 친구 셋과 우리만의 첫 해외여행을 떠났다. 포르투갈 여행에서 리스본으로 향하기 전, 유라시아 대륙의 서쪽 끝인 까보다로까에 도착했다. 뒤로 물러설 곳 없는 절벽 위에 서자, 대서양의 바람이 심장을 두드렸다. 땅끝마을을 상징하는 십자가 돌탑에는 포르투갈의 서사시인 카몽이스가 ‘땅이 끝나고 바다가 시작되는 곳’이라 칭송했던 글귀가 새겨져 있었다.

십자가 돌탑을 배경으로 친구 셋이 사진을 찍었다. 나는 뒤로 물러나 그 모습을 바라보았다. 우정이라는 단어가 실체를 얻는다면 아마 저 장면이리라. 바람에 흐트러진 서로의 머리카락을 정리해주고, 눈빛만으로 “괜찮아”를 주고받는 장면에서 든든한 신뢰가 엿보였다. 친구들과 나의 환한 웃음소리가 바람에 버무려져 바다를 향해 내달렸다. 우정의 흔적을 남겨둔 채 우리는 리스본으로 출발했다.

벨렝탑을 보았다. 테주강 위에 세워진 탑인데 지금은 강물의 흐름 때문에 강물 위로 노출되었다고 한다. 외국 선박의 출입을 감시하고 통관 절차를 밟던 곳으로, 대항해 시대에는 선원들이 왕을 알현하던 장소였다. 나는 친구들과 그 앞에서 잠시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도시를 지켜보는 돌탑처럼, 우리도 긴 시간을 서로의 옆에 서서 침묵을 나눈 적이 많았다. 무언가를 말하지 않아도 편한 친구가 있다는 것을, 우리는 이 여행 내내 증명하고 있었다. 어쩌면 매년 나이를 더끔더끔 먹는다는 것은 누군가의 곁에 오랫동안 고요하게 머물 줄 아는 능력이 보태진다는 의미인지도 모르겠다.

발견자의 기념비 앞에 섰다. 대서양을 향해 돛을 펼친 모양의 조형물이었다. 왕자, 항해사, 지도 제작자, 시인 등 그들의 시선은 내가 서 있는 반대편을 향해 있었지만, 나는 그들이 한때 품었을 꿈에 대해 생각했다. 무엇이 저들을 바다로 향하게 만들었을까. 사람은 늘 무엇인가를 시작하려다 말고, 그 자리에 주저앉는 경우가 많다. 나 역시 그랬다. 그러나 그들은 대항해를 시작했다. 미지의 세계를 향한 두려움 없는 확신이었을까, 아니면 두려움을 품고도 떠나야 했던 용기였을까.

나는 기념비를 쓰다듬었다. 문득, 쏟아지는 햇살 아래에서 무언가 허락받은 기분이 들었다. 안에 여전히 망설이기만 했던 꿈을 실천해도 좋을 것 같았다. 내가 사고의 틀을 열어젖힌다면 꿈을 이룰 용기가 펼쳐질 것이다. 두려움을 버리고 마음속 울림에 귀 기울인다면 언젠가는 내 삶이 충만해질 수 있으리라. 나는 내가 이미 포르투갈에 머무르고 있다는 사실을 떠올렸다. 리스본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앞으로 현재보다 더 용기를 낼 수 있으리라는 예감이 들었다. 내 가슴속에서 변화의 기운이 꿈틀댔다.

알가르브 지방의 최남단 도시인 알부페이라로 이동했다. 해안으로 내려가 보트를 타고 석회암 바위절벽의 정취를 만끽하며 베나길 동굴로 향했다. 동굴의 뚫린 천장으로 하늘을 올려다볼 수 있는 곳이었다. 나는 출렁이는 물결 위에서 생각했다. 살아간다는 것은 내 영혼이 기댈 수 있는 문장 하나를 찾아 가슴에 품는 일이라고 인식했다. 포르투갈에서의 따뜻한 순간도 두고두고 문장으로 반추되겠지. 나와 친구들과의 소소(炤炤)한 여행도 문장으로 끊임없이 남겨질 것이다.

*소소(炤炤): 밝고 환하다

/정미영 수필가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