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전 10시쯤 포항시청 2층 로비에 마련된 1000원 주택 예비입주자 모집 신청 접수창구는 수십 명의 청년·신혼부부로 채워졌다. 갓난 아이를 업은 젊은 엄마부터 20~30대 새내기 직장인들은 기대와 설렘을 가득 안고 신청서와 번호표를 손에 꼭 쥐었다.
입주를 간절히 소망한다고 밝힌 박정환씨(30·북구 두호동)는 “보증금 300만원에 월세 30만 원 짜리 원룸에 사는데, 관리비 10만 원을 포함하면 주거비로 매달 40만 원이 나간다"라면서 “하루 1000원, 월 3만 원으로 최대 4년간 거주할 수 있어 월세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나머지는 저축해서 목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19세 이상~ 45세 이하 청년·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올해 100가구를 공급하는 포항시의 ‘1000원 주택’에 대한 반응이 폭발적이다.
16일과 17일 신청을 받아 자격 심사를 거쳐 10월 20일 당첨자를 발표하는데, 모집 첫날에만 500명의 신청자가 몰렸다. 이강덕 포항시장도 직접 접수처 부스에 앉아 신청서를 받으며 청년들의 의견을 청취하기도 했다.
다만 100가구 중에 지난해 포항 북구 양덕동에서 제공한 청년징검다리 재계약분 24가구를 제외하면 실제로는 76가구(청년 56가구, 신혼부부 20가구)를 공급하는 셈이다.
LH에서 빌리려면 월 17만 원 수준의 임대료를 내야 하지만, 1000원 주택은 포항시가 14만 원을 지원해주고 나머지 3만 원은 입주자가 부담하면 된다. 덕분에 LH 아파트에 거주 중인 입주자들도 LH 아파트 대신, 청년주택의 입주를 희망하며 신청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다만 보증금 300만 원~600만 원은 별도로 내야 한다.
갓난아기를 품에 안고 딸의 신청서 작성을 돕고 있던 이모씨(59)는 “딸 부부와 손주 2명이 LH청년주택에 살면서 관리비 등을 포함해 50만 원의 월세를 내는데, 포항시 청년주택은 10분의 1도 안되는 수준이다"면서 “이번 기회를 꼭 잡아야 한다”고 했다.
취업을 위해 고향인 서울에서 포항행을 택한 김상온씨(37·남구 상대동)는 “포항의 집값이 비싼 편”이라면서 “1000원 주택은 청년들의 외부 유출을 막는 타 지자체와 차별화된 확실한 당근책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입주 연장 횟수를 1회에서 2회로 늘리고, 공급호수도 꾸준히 늘려나간다면 이 혜택을 놓치기 싫어서라도 타 도시로 이사 가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포항시는 월 3만 원의 공공주택을 올해 100가구를 시작으로 5년간 500가구를 공급한다.
2027~2028년에는 신혼부부, 다자녀, 노동자를 중심으로 1800가구를 공급하고, 2029~2030년에는 다자녀와 고령자를 중심으로 1200호를 제공할 계획이다. 청년부터 고령자까지 임대료 월 3만 원 주택 3500가구를 공급하는 것은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최대 규모다.
/이시라기자 sira11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