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업적 조건 합의 완료”···中 “원칙 양보 없다” 틱톡 금지 위협이 합의 끌어내···관세 휴전·APEC 정상회담과 맞물려
미국과 중국이 중국 바이트댄스가 운영하는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의 미국 내 사업 처리 문제를 둘러싸고 기본적인 합의 틀에 도달했다.
로이터,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들은 최종 결정은 19일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정상 통화에서 확인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틱톡 매각 대신 운영 유지 구조 합의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15일(현지시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미·중 장관급 협의 종료 후 기자들에게 “틱톡을 미국의 관리 체계 아래 두는 새로운 소유 구조 전환에 합의했다”며 “세부 조건은 공개하지 않지만 상업적 조건은 이미 확정됐다”고 밝혔다. 기존 매각 시한(17일)이 최대 90일간 연장될 가능성도 시사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협의가 “매우 잘 됐다”고 평가하며, “시(習) 주석과의 협의가 틱톡 문제뿐 아니라 더 큰 무역 합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SNS ‘트루스 소셜’에 “미·중 관계는 여전히 매우 강력하다”고도 적었다.
△중국 “문화·원칙 지킨다”
중국 측 대표 리청강 상무부 부부장은 “틱톡 문제에서 양국이 컨센서스에 도달했다”면서도 “기업의 이익을 희생하지 않고 원칙은 결코 양보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다만 바이트댄스가 핵심 기술·알고리즘 이전을 수용할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틱톡 퇴출’ 위협이 중국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냈다”고 지적했다. 초기 협상에서 중국은 관세 완화 등 보상을 요구했으나, 미국은 이를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세 휴전·APEC 앞둔 전략적 합의
이번 합의는 10월 말 경주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성사됐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APEC에 참석할 것으로 보이며, 별도 회담 가능성도 있다. 현재 양국은 상호 고율 관세를 오는 11월 10일까지 중단하기로 합의했고 추가 연장 여부도 검토 중이다.
베센트 장관은 “약 한 달 뒤 다른 장소에서 후속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며 “APEC 이전까지 전면적인 무역 합의가 가능할지는 아직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