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인재 발굴·제조업 혁신 ‘두 마리 토끼’
포스코홀딩스가 미래 제조업 혁신을 이끌 청년 인재 양성에 나섰다. 회사는 9일 ‘산업용 AI-로봇 경진대회’를 열고 전국 대학(원)생들이 AI 기반 로봇 기술로 산업 현장 문제 해결 능력을 겨루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대회는 포스코그룹 핵심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동시에 작업자 안전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AI·로봇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 처음 기획됐다. 지난 5월부터 치러진 예선에는 32개 대학 84개 팀이 참가했으며, 12대 1의 경쟁률을 뚫은 7개 팀이 본선에 올랐다.
본선은 다관절 협동로봇과 4족 보행로봇 2개 부문으로 진행됐다. 협동로봇 부문 참가팀은 이차전지소재 열처리 용기를 모사한 불량 블록을 교체하는 미션을 수행했고, 4족로봇 부문에서는 계단과 협소 구간 등 제철소 설비 점검 환경을 재현한 트랙을 완주하는 방식으로 경쟁했다.
대상은 성균관대 ‘Agile팀’(4족로봇)과 서울시립대 ‘UOS Robotics: ARM팀’(협동로봇)이 차지했다. 포스코그룹 회장상과 총 40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됐으며, 본선 진출팀 전원은 연구과제 연계 기회와 포스코DX 채용 가점 혜택을 받는다.
참가자인 성균관대 손영우 학생은 “AI를 활용해 자율보행 솔루션을 직접 구현하고 현장 환경에 맞는 미션을 수행한 경험이 값졌다”며 “앞으로 산업용 로봇 연구를 이어가는 데 큰 자산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수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장(CTO)은 “이번 대회가 AI와 로봇이 주도하는 미래 제조업을 미리 체험하는 장이 됐다”며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등 그룹 핵심 사업에 관련 기술을 적극 도입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인재 양성에도 힘쓰겠다”고 밝혔다.
포스코그룹은 실제로 제철소 고위험 작업에 4족 보행 로봇을 투입하는 등 현장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회사 측은 이를 통해 작업자 안전 확보와 생산성 향상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거두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인텔리전트 팩토리 구현에 속도를 내겠다는 구상이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