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올해 임금체불 대구 368억 원, 경북은 472억원⋯제조업과 건설업 비중 커

황인무 기자
등록일 2025-09-08 16:14 게재일 2025-09-09 8면
스크랩버튼
체불 현황 지방과 공유 처음
대구고용노동청 전경./경북매일DB

대구·경북지역의 사업체 체불임금이 368억 원, 472억 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조업과 건설업이 비중이 높다.

7일 고용노동부가 공개한 17개 시도별 임금체불 현황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임금체불 총액은 1조 3421억 원, 체불 피해 노동자는 17만 3000명이다. 수도권(경기·서울·인천)의 체불액은 전체의 56.6%를 차지해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경기도에서는 4만 3000명이 서울에서는 4만 7000명의 노동자가 임금을 받지 못했다. 수도권에 사업체가 밀집해 있다는 이유로 체불이 집중되고 있지만, 이에 상응하는 사전관리와 감독이 전무 했다는 분석이다. 

대구는 5704명(368억 원), 경북에서는 6712명(472억원)이 임금을 받지 못했으며, 각각 전국 체불임금 분포도에서 체불 금액의 2.7%, 3.5%를 차지했다. 세종(0.3%), 제주(1.4%), 울산(1.4%), 대전(1.4%), 강원(1.8%), 충북(3.0%)의 뒤를 이었다. 

고용노동부가 광역지방자치단체별 체불 현황을 분석해 지방정부와 공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구와 경북은 제조업와 건설업 등 체불 규모가 높았다. 또 서울은 운수·창고·통신업 및 건설업, 제주는 건설업 및 도소매·음식·숙박업의 체불 규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구노동청은 추석 명절을 앞두고 다음 달 2일까지 임금체불을 집중 청산할 계획이다. 작년보다 집중 청산 기간을 2배 늘리고, 임금체불 신고 전담 창구도 개설했다.

대구고용노동청 관계자는 “경기 침체로 인해 업종별로 어려움이 이어지고 있다”며 “노동권 사각지대를 줄이고 체불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임금 체불은 지역경제 발전을 저해하는 문제 중 하나란 지적이기에 노동부는 앞으로 매월 시·도별 체불 현황을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하고, 협력을 강화해 체불 예방의 효과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황인무기자 him7942@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