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탄소중립 해법은 수소환원제철”···포항포럼서 한목소리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9-04 16:43 게재일 2025-09-05 6면
스크랩버튼
2025 탄소중립·수소환원제철 포럼 열려···지역사회 역할 강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수소환원제철이 유일한 해법이며, 이를 위해 시민과 지역사회가 함께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4일 포항시청에서 열린 ‘2025 탄소중립 & 수소환원제철 포항포럼’에 참석한 발표자들의 공통된 견해다.

이번 포럼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렸으며, 포항환경연대, 공정경제포항시민연합, 탄소제로도시포항네트워크, 전국플랜트건설노조포항지부, 포항시민광장 등 지역 시민단체와 기관들이 함께했다. 철강산업 중심지인 포항이 탄소중립 전환의 선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취지다.

발제는 △유성찬 포항환경연대 공동대표(‘위기의 철강산업, 수소환원제철로 극복을’) △안창희 전 경기중북부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수소환원제철과 RE100’) △임승률 창해금속연구소장(‘폐기물·쓰레기에서 RE100까지’) △심온 고양시탄소제로숲네트워크 집행위원장(‘시민 중심 탄소제로 운동과 포항 제언’) △한유성 포항공정경제연합 대표(‘시민과 함께 만드는 수소환원제철’) 순으로 이어졌다.

유성찬 공동대표는 “포항은 한국 철강의 근간”이라며 “수소환원제철소 성공이 곧 탄소중립 달성의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탄소중립은 특정 부문만의 과제가 아니며, 포항시·시민·포스코가 모두 협력해야 가능하다”며 “이를 지역사회에 널리 알리기 위해 포럼을 지속적으로 개최하겠다”고 말했다.

손종수 포항환경연대 공동대표는 개회사에서 “포항은 철강산업의 중심지로서 탄소중립을 위한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은 지역의 미래를 위한 핵심 과제”라고 밝혔다. 이어 “포항에서부터 탄소중립 운동의 속도를 높이고 전국으로 확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